최근 장애인의 문화권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함께 강조되고 있는 자기결정력은 발달장애 청소년이 가정과 학교 그리고 지역사회에서 질적인 삶을 영위하기 위해 반드시 획득해야 할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는 미술이 발달장애 청소년이 스스로 창작과정을 선택하고 작품을 통해 자신의 목소리를 드러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이에 자기결정력 모델을 적용한 미술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발달장애 청소년의 행동과 경험을 심층적으로 분석하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에 질적 사례연구 방법론을 사용하여 자기결정력 모델을 적용한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발달장애 청소년 6명에게 적용하여 참여자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미술활동을 통한 발달장애 청소년의 자기결정력의 변화에 관한 4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첫째, 외부간섭 없이 자신이 선호하는 것과 흥미를 바탕으로 미적 호기심, 표현의 확장을 경험하였다. 둘째, 목표 달성을 위한 목표설정과 계획을 실행하며 목표설정, 자기 주도성, 수용적 태도로 표현되었다. 셋째, 과제 수행과정에서 자신의 강점을 바탕으로 자기만족, 문제해결 능력이 나타났다. 넷째, 자신의 관심과 경험을 바탕으로 표현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삶과 연결, 능동적 참여가 이루어짐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발달장애 청소년의 자기결정력 향상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구조화할 수 있는 핵심 요소를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기초 연구로서 의의가 있다.
Self-determination, which has recently been emphasized with the growing interest in the culture of the disabled, is an important factor that young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ust acquire in order to lead a qualitative life at home, school, and community. This study starts with the premise that art provides an opportunity for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choose their own creative process and reveal their voices through art work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in-depth the behavior and experiences of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articipating in art education programs applying the self-determination model. This art education program applying a self-determination model was developed using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ology and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were analyzed in-depth by applying it to six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a result of data analysis, four topics were derived on the change in self-determination of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rough art activities. First, they experienced the expansion of aesthetic curiosity and expression based on his preferences and interests without external interference. Second, goal setting and plan for achieving goals were implemented and expressed as goal setting, self-directed, and receptive attitude. Third, self-satisfaction and problem-solving skills were shown based on their strengths in the task performance process. Fourth, it could be seen that in the process of expressing based on one's interest and experience, connection with one's life and active participation took place. This study is meaningful as a basic study in that it derived key elements that can structure art education programs to improve self-determination of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