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상상을 통한 총체적 사고과정의 예술 장르 통합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래밍 전략: 가스통 바슐라르의 물질적 상상력을 중심으로

Based on Whole Thinking through Imagination Strategies for Programming in Arts Genre Integrated Arts & Culture Education Program: Centered on Gaston Bachelard's Material Imagination

  • 64
표지.JPG

본 연구는 2021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주최하는 <문화예술교육사 대상 프로그램 개발 공모전>에서 프로그램을 개발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한다. 연구자는 경험을 통해 통합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계획할 때, ‘상상을 통한 총체적 사고 과정’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이에 가스통 바슐라르의 ‘물질적 상상력’을 통해 주제를 다-감각적으로 상상하는 과정, 방법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연구자의 예술 장르 통합 프로그램 경험을 언급하고, 문제점을 해결하기에 바슐라르의 상상력이 어떤 의미를 지닐 수 있는지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이를 어떻게 통합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계획에 활용할 수 있는지 연구자의 사례를 통해 설명할 것이다. 이에 교육 현장의 실질적 경험을 바탕으로 한 연구는 통합 문화예술교육의 질적 성장을 위한 좋은 밑바탕이 되기를 기대한다.

In 2021, I developed a program for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Contest>. When planning a program, I became to think ‘whole thinking through imagination' is necessary. Based on Gaston Bachelard's 'material imagination', a study was conducted on the process and method of imagining a subject multi-sensibly. Therefore, in this study, the researcher's experience of the integrated program was mentioned and looked at what Gaston Bachelard's imagination can mean for solving problems. And I would like to explain how this can be used in planning cultural arts education programs through the case of a researcher. Research based on practical experience in the educational field can be a good foundation for the qualitative growth of integrated culture and arts education.

I. 나의 ‘통합 프로그램 계획’ 경험 이야기

Ⅱ. 통합 프로그램의 상상을 통한 총체적 사고과정 적용

Ⅲ. 마무리하며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