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사회적 지지가 가정위탁아동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과 낙인감의 매개효과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career maturity of children in foster care :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and stigma

※해당 콘텐츠는 기관과의 협약에 따라 현재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연구목적: 본 연구는 가정위탁아동의 사회적 지지가 자기효능감과 낙인감을 통해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가정위탁아동패널 3차년도 조사에 참여한 265명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가정위탁아동의 사회적 지지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과 낙인감의매개효과 분석을 위해 구조모형분석, 부트스트래핑, 팬텀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가정위탁아동이 사회적 지지는 진로성숙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가정위탁아동의 사회적 지지는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가정위탁아동의 사회적 지지는 낙인감을 매개로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쳤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가정위탁아동의 진로성숙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whether the social support for foster care children affects career maturity through self-efficacy and stigma. Methods: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265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 Foster Care Children Panel Study(third wave)’. As Statistical methods, Structural Equating Modeling, bootstrapping, and a phantom model analysis were utilized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and stigma on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career maturity of foster children. Result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ocial support for foster care children did not directly affect career maturity. Second, social support for foster care children affected career maturity through self-efficacy. Third, social support for foster care children affected career maturity through a sense of stigma.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measures to increase the career maturity of foster children are discussed.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