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JPG
KCI등재 학술저널

토픽모델링을 통한 학교 밖 청소년 이슈 분석

Study of Out-of-School Youth Issues through Topic Modeling

  • 283

본 연구는 교육부가 시・도교육감의 학교 밖 청소년 지원 책임을 명시한 법 제정을 추진하고 있는 시점에서, 현재 정부에서 학교 밖 청소년에게 주로 제공하는 지원 외에 제도적으로 확장할 수 있는 지원 분야에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8년부터 2022년까지 학교 밖 청소년을 주제어로 한 뉴스 기사 1,799건을 대상으로 텍스트마이닝 기법인 LDA를 기반으로 한 토픽모델링 분석을 실시하여 언론에서 주로 다루고 있는 토픽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검정고시 및 대입지원’, ‘직업체험훈련’, ‘건강검진 및 전용공간 지원’, ‘문화예술 프로그램’, ‘공립 대안학교 등 지원정책 수립’, ‘창업・자립 지원’, ‘후원금 기부’, ‘교육재난지원금 지급’, ‘교육수당지급 등 교육청 지원’, ‘지역사회 상호 재능기부’ 등 총 10개의 토픽이 도출되었다. 이 중 현 정부에서 주로 지원 중인 분야를 제외하면, ‘문화예술 프로그램’, ‘공립 대안학교’, ‘교육재난지원금 및 교육수당 지급’, ‘지역사회 재능기부’ 등에 관한 내용이 새로운 토픽으로 등장하였음을 알 수 있다. 분석 결과에 따라 새롭게 등장한 토픽에 대해 학교 밖 청소년 지원 제도에 반영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추가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연구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what support areas that can be extended institutionally besides the support currently provided by the government to out-of-school youth. To this end, topic modeling analysis based on LDA, a text mining technique, was conducted on 1,799 news articles with out-of-school youth as the theme from 2018 to 2022 to analyze topics mainly covered by the media. As a result, ‘GED and college entrance support’, ‘Job experience training’, ‘Health checkup and dedicated space support’, ‘Cultural arts program’, ‘Public alternative school support policy establishment’, ‘Start-up and self-reliance support’, ‘Sponsor money Donation’, ‘Education disaster support fund’, ‘Education allowance payment’, ‘Mutual talent donation’ a total of 10 topics were derived. Among them, excluding the fields mainly supported by the current government, new topics such as ‘culture and arts programs’, ‘public alternative schools’, ‘educational disaster subsidies and payment of education allowances’, and ‘community talent donation’ have emerged as new topic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new topics that have emerged were proposed to be reflected in the out-of-school youth support system, and additional research to be done was suggested.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