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JPG
KCI등재 학술저널

초기불교시대 여성의 수행과 특징에 대한 연구: 『테리가타(Therīgāthā)』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ractice and Characteristics of Women in the Early Buddhism: Focusing on Therīgathā

[연구 목적] 초기불교는 차별과 혐오로 가득한 시대상 속에서 인간의 평등함을 근본 입장으로 유지하였다. 숙명적인 계급을 떠나 스스로 열반을 추구하는 수행은 인도 역사 속에서 획기적인 것이었다. 현대 사회는 여전히 불평등과 차별의 문제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본 연구는 붓다의 시대, 여성 출가자들의 수행모습을 통해, 차별과 억압의 사회에서 불교수행이 지니는 가치와 의미를 고찰하고자 한다. [연구 내용] 붓다의 시대, 여성의 출가는 사회적 차별과 억압이라는 배경 속에서 이루어졌다. 또한 출가 후 수행의 과정에서도 여성 출가자는 여성으로서의 어려움이라는 이중고에 맞닥뜨려야만 했다. 이러한 어려움 속에서도 여성 출가자는 팔정도, 부정관, 사념처, 오근, 오력, 칠각지 등 다양한 수행과 노력을 통해 깨달음을 성취했다. 「테리가타」 속의 여성 출가자들은 개인적 맥락과 사회적 맥락에서 수행의 성과를 이루었다. 먼저, 병들고 죽고 부패하는 육체의 고통을 통찰하였으며 자신의 몸에 부여되는 시각으로부터의 해방을 경험하였다. 남성을 유혹하는 자가 아니라 어떤 유혹에도 굴하지 않는 존재로 거듭났다. 그리고 사회적 맥락에서도, 여성 수행자들은 성별 고정관념 등 사회적 억압으로부터 스스로를 해방시켰다. 더 나아가 다른 여성들을 가정의 노예로부터 해방시키고자 노력하였으며, 신분 및 가족 체계라는 엄한 위계 속에서도 지도자의 역할을 수행하며 사회적 존재로 성장했다. [결론] 「테리가타」를 통해 나타나는 여성 수행자들의 개인적, 사회적 맥락에서 수행의 의미와 그 특징을 살핀다. 붓다시대의 여성과 수행을 통해, 현대의 수행자들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한다.

[PURPOSE] Modern society is still not free from problems of inequality and discrimination.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value and meaning of Buddhist practice in a society of discrimination and oppression through the practice of Buddhist nuns in the age of Buddha. [CONTENTS] Women's renunciation took place in the background of social discrimination and oppression. Women who entered the Buddhist priesthood had to face the double whammy of difficulties as women. Female monks in 「Therīgātā」 achieved results of ascetic practices in personal and social contexts. First, they gained insight into the pain of a sick, dying, and decaying body and experienced liberation. And even in the social context, female practitioners freed themselves from social oppression such as gender stereotypes. Furthermore, she tried to free other women from domestic slavery and grew into a social being, playing the role of a leader in the strict hierarchy of status and family system. [RESULTS] Examining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female practitioners in the personal and social context of 「Theṛīgātā」. Through the women and ascetic practices of the Buddha era, the direction modern practitioners should move forward is sought.

Ⅰ. 서 론

Ⅱ. 초기불교의 여성과 수행-여성 수행의 역사적 배경

Ⅲ. 『테리가타』에 드러난 여성 수행의 결과

Ⅳ. 여성의 수행과정과 특징

Ⅴ. 결 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