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역량의 착각이 성적예측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Illusion of Competency of middle school students on Grade Predi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 교육발전
- 제42권 제3호
- : KCI등재
- 2023.02
- 793 - 814 (22 pages)
이 연구는 학생들이 자신의 성적을 예측할 때 과신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에 주목하여 자신의 학습능력에 대한 개인적 신념인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성적예측 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며, 역량의 착각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실제 학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중학생들에게서도 자신의 성적을 예측할 때 과신하는 경향이 동일하게 확인되었으며, 실제성적을 기준으로 사분위로 나눌 경우 더닝-크루거 효과도 나타났다. 회귀분석 결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성적예측에 유의한 정적영향이 나타나,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학습판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로서 학생들의 성적예측을 과신하게 하는 메커니즘에 기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역량의 착각은 실제성적에 유의한 부적영향이 있으며,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미치는 영향보다 훨씬 강력하여 학업성취 향상을 위해 역량의 착각을 극복할 수 있는 교육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시 된다. 실제성적과 예상성적 간 차이로 나타나는 역량의 착각이 음의 값인지 양의 값인지에 따라 두 그룹으로 나눌 경우, 실제성적에 대한 역량의 착각의 회귀모형은 자신의 성적을 과대평가하는 그룹에게서만 유의하였으며 이는 역량의 착각을 깨뜨리기 위한 교육적 개입은 주로 학업성취가 낮은 학생들에게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할 수 있다. 역량의 착각을 줄이는 방안 중 하나로서 학습전략에 대한 명시적인 교육을 도입하되 특히 인출연습의 유익에 대해 알리고 활용할 수 있도록 권장할 것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that focused on students' tendency to overconfidence in predicting their grades was to analyze how academic self-efficacy, a personal belief in learning ability, affects performance prediction,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llusion of competence and academic self-efficacy on actual academic achievement.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middle school students also have the same tendency to overconfidence when predicting their grades, and the Dunning-Kruger effect was also found when divided into quartiles based on actual grades.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academic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grade predic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was one of the factors influencing judgment of learning, contributing to the mechanism that overconfidence students' grade prediction. The illusion of competency has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actual grades, and it is much stronger than the impact of academic self-efficacy, so it is necessary to find educational ways to overcome the illusion of competency to improve academic achievement. When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whether the illusion of competency is positive or negative, the regression model of the illusion of competency for actual performance was significant only in the group that overestimated their performance. This may suggest that educational intervention to break the illusion of competency needs to focus mainly on students with low academic achievement. As one of the ways to reduce the illusion of competency, it was proposed to introduce explicit education on learning strategies, but to encourage them to inform and utilize the benefits of retrieval practice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