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안의 양식 어장에서 식량자원으로 주로 생산되는 양식 패류는 성장에 따라 탄소가 저장된 패각을 형성한다. 수확된 패류를 식량자원으로 사용하고 남겨지게 되는 패각 부분을 탄소저장기능이 있는 방법으로 재활용할 경우, 탄소수지개선 효과가 있다는 것이 여러 연구를 통해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해양 패류의 개체성장에 따른 패각 내 이산화탄소의 생성과 저장에 대한 기작을 분석하였고 자연 패류 및 양식 패류의 생산성 향상을 통하여 일반적으로 얻어지는탄소수지 추정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또한 양식 패류 생산의 부산물로 얻어지는 패각의 재활용방안에 대하여 분석하였으며 마지막으로 탄소저장 기능성을 가진 재활용 방법이 활용될 경우에 대한 탄소수지를 추정함으로써 온실가스감축에 대한 잠재효과를 고찰하였다.
Coastal shellfish in the shallow aquaculture waters form carbon contained shells as they grow. The existing researches showed that carbon flux can be improved, if the shells are re-treated by the carbon stored methods. In the present study, firstly, the mechanism and the quantitative flux of carbon dioxide in the shellfish individual have been analyzed. The re-treated methods of the useful by-product in the shellfish aquaculture, shells, have been reviewed. Finally, the potential effects to reduce the greenhouse gas has been suggested, if the shells can be properly re-treated.
1. 서론
2. 재료 및 방법
3. 결과 및 고찰
감사의 글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