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용음악학과 교수자의 비대면 수업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실기 과목 수업을 중심으로 -
A Phenomenological Study of Faculty Members’ Experiences with Online Instruction in Jazz and Commercial Music Departments: Focusing on Teaching Applied Lessons and Performance Classes
- 한국음악교육학회
- 음악교육연구
- 음악교육연구 제52권 제1호
- : SCOPUS, KCI우수등재
- 2023.02
- 29 - 56 (28 pages)
본 연구는 지난 몇 년간 실용음악학과 교수자들이 실시한 비대면 실기교육의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를 통해 해당 현상과 경험의 본질을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학의 실용음악 관련학과에 출강 중인 교수자 9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 면담하였고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자료를 분석하는데 있어서 스티비크-콜라이찌-킨의 방법을 사용하였고 3개의 범주와 9개의 주제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교수자들은 코로나 시대를 맞아 불가피하게 비대면 실기 교육을 실시하게 됨으로써 당황함, 고민과 시행착오의 시간, 적응 단계를 거쳤으며, 이 과정에서 스스로의 성장을 목격한 이도 있었다. 또한 비대면 수업 방식의 용이함을 발견하는 반면 수업운영 전반에 있어 한계를 경험하였다. 따라서 실기 수업에 있어 대면 교육의 우수성을 재인식하면서 미래에 비대면 수업이 지속되기 위해서는 제도적, 기술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보고하였다.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연구 참여자들의 비대면 수업 경험 과정과 실용음악학과의 실기 분야에 있어 비대면 수업이 지니는 의미와 본질을 밝히고, 미래 수업 운영방식에 있어 토대가 되는 자료를 마련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essence of teaching experiences of online applied lessons and performance classes in Jazz and Commercial Music Departments during the last few year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9 research participants who were faculty members of Jazz and Commercial Music Departments in colleges, and phenomenological analysis was conducted. The data has been analyzed using Stevick- Colaizzi-Keen method, and three categories and nine themes were brought to conclusion. The analysis shows that participants had gone through stages of feeling awkward, trial and error, and adaptation to the forcibly implemented online instruction, while some others had experienced positive development as an instructor. The participants also had witnessed overall limitation of the method while benefiting from its convenience. Therefore, they recognized the effectiveness of face-to-face education in applied lessons and performance classes, and reported that the technical and institutional support were necessary in order for distance learning to succeed.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exposed the process of participants experiencing online instruction as well as the meaning and the essence of performance-related courseds in Applied Music departments. Lastly,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s in educational methods for the future of Jazz and Commercial Music Department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