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고학년 대상 비폭력대화 수업에서 챗봇 제작 프로그램 활용의 효과1
The Effect of Using Chat-bot Production Program in Nonviolent Communication(NVC) Classes for Upper Elementary Students
- 한국인공지능윤리학회
- 인공지능윤리연구
- 2권 1호
-
2023.026 - 35 (30 pages)
- 394
초등학교는 처음 속하는 작은 사회로, 학생은 그 속에서 자연스럽게 타인과의 갈등을 경험한다. 신체적·정서적 변화와 혼란스러움을 겪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은 종종 학습한 갈등 해결법을 실천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인다. 특히 최근 미디어를 통한 무분별한 콘텐츠 노출, 팬데믹으로 인한 거리두기 등의 영향으로 스스로 감정을 조절하고 갈등을 평화롭게 해결하는 일에 어려움을 느끼기도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 실천으로 이어지는 비폭력대화 교육에 목적을 둔 프로젝트 수업을 진행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프로젝트 수업은 4단계 과정의 순차적 진행을 강조하는 비폭력대화법을 다루기 위해 절차적 사고를 바탕으로 한 챗봇 제작 프로그램(에이아이런)을 활용했다. 연구 결과 챗봇 제작 프로그램을 활용한 비폭력대화 교육은 학생의 실천 효과에 있어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또 학생에게 인간다운 삶과 기술을 연결 지어 고민하는 기회를 제공하며, 챗봇의 교육적 활용 범위를 확대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Elementary school is a small society to which students naturally experience conflicts with others. Upper elementary students who undergo physical and emotional changes and confusion often fail to practice the conflict resolution they have learned. In particular, it is difficult to control emotions and resolve conflicts peacefully due to the recent indiscriminate exposure of content through the media, and social distancing caused by the pandemic. Therefore, in this study, a project class aimed at nonviolent communication(NVC) education leading to practice was conducted and its effectiveness was verified. The project class used a chat-bot production program (AILearn) based on procedural thinking to deal with NVC that emphasize the sequential progression of the four-step process. As a result of the study, NVC education using chat-bot production programs showed significant results in the student's practical effect. It is also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students with the opportunity to think about human life and technology, and expands the scope of educational use of chat-bo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설계 및 운영
Ⅳ. 연구 결과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