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JPG
KCI등재 학술저널

학부모인 교사는 어떻게 사교육을 받아들이는가?

How do teachers who are parents perceive and participate in private tutoring?: A case study of middle-school teachers in G city

DOI : 10.32465/ksocio.2023.33.1.006
  • 152

본 연구는 학부모인 중고등학교 교사가 어떻게 사교육을 받아들이고 참여하는지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G광역시 소재의 중학교 또는 고등학교에 재직하고 있고 학교를 다니고 있는 자녀를 둔 4명의 여교사를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사례로 선정하여 이들과의 심층면담을 진행하였고 면담에서는 이들이 사교육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지 교사가 아닌 다른 학부모들과의 비교를 통해 그들의 참여행태의 특성을 드러내고자 했다. 연구 결과 교사는 상위 학교급으로의 진학에 있어서 입시경쟁이 당연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는 상황에서 다른 학부모들과 마찬가지로 자녀가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전략으로 사교육 활용을 불가피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다만 교사 본인이 가르치고 있는 전공교과 사교육과 그 외의 교과 사교육에 대한 태도와 활용전략은 다르게 나타났다. 전공교과 사교육 참여에 있어서는 교과교육 전문가로서 전략적인 선택을 통해 자녀의 교육을 지원하지만, 전공교과 외 사교육에 있어서는 정답이 없는 입시경쟁에서 다른 부모들을 따라가는 모습을 보였다. 다만 전공교과 외 사교육에 있어서도 학부모인 교사들은 학교현장에서 학생들의 수준을 파악하기 위한 수많은 평가를 경험하면서 자신의 자녀 또한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그에 합당한 사교육 투자를 하려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한편, 이들은 학생들이 모두 참여할 수 있는 시간을 낭비하지 않는 수업을 조성함으로써 사교육의 대안을 학교교육으로부터 찾아낼 수 있다는 믿음을 드러내었다. 이는 부모로서 사교육에 참여할 수 밖에 없는 현실 속에서도, 교사로서 사교육에 견줄 수 있는 공교육을 만들어 나가야 한다는 소명의식을 보여주는 결과였다. 이를 통해 부모로서의 자녀 교육 지원과 사교육 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확인하고 아비투스의 개념을 적용하여 부모와 교사의 사교육 인식과 참여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는 연구의 의의를 밝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eply understand how teachers who are parents and support their children’s schooling perceive and participate in private tutoring. Four female teachers, who worked at a middle school or a high school located in G metropolitan city and had children attending school,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reveal the particularities of their perceptions of private tutoring and participating behaviors in it by comparing them with other paren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eachers perceived private tutoring as inevitable for their children to compete and thus get admissions from selective universities, just like other parents in the situation wher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s are considered extremely competitive in credential society. However, the teachers' attitudes and utilization strategies towards private tutoring became different based on whether they support their children’s education related to their major subjects or other subjects in schools. With an expert level of content and pedagogical knowledge, they supported their children's education related to their majors by using private tutoring in a very sophisticated way, whereas they tended to just follow other parents in non-major private tutoring. However, regardless of subjects, they tried to objectively evaluate their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and invest rationally in private tutoring, as they had a lot of experiences regarding testing other students in their schools. They also believed that they could contribute to reducing the demand for private tutoring to improve academic achievement among students, including their children, through reforming their classes in which all students can participate in class activities and thus feel rewarded. Finally, the scholarly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found to clarify the impact of private tutoring as an inevitable way of parental educational involvement, particularly among teachers who are parents, and to help understand their perception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ormal schooling and private tutoring, using the concept of habitu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및 해석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