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속신화 <이공본풀이>의 서사문학적 변용과 그 의의 -고소설 <안락국전>의 소재적 원천과 형성과정에 대한 고찰을 겸하여
Epic Literary Transformation and Variation of the Shamanistic Myth “Yigongbonpuri” -A Review of the Material Source and Formation Process of the Novel <Anrakgukjeon>
무속신화 <이공본풀이>는 우리 민족의 고대적 제의라 할 수 있는 열두 거리 큰굿과 더불어 창조된 신화로, 그 서사구조가 <지림사(祗林寺) 연기설화>, 월인석보의 <안락국태자경>, 고소설 <안락국전>과 같은 여러 갈래의 문학작품 속에 수용되고 변용되면서 우리 한국문학의 터전을 풍부하게 일구어온 기재 노릇을 했다. 지림사 연기설화는 지림사라는 사찰이 창건되던 643년(신라 선덕여왕 12) 당시, 이 사찰을 성지(聖地)로 인식시키고자 이곳을 석가모니의 전생 거주처로 만들기 위해 창작된 것이다. 이 설화는 이공본풀이의 서사구조 위에 왕생게, 아미타불, 극락왕생, 원왕생 등을 강조하고 있어, 아미타 신앙, 극락왕생, 왕생게 등을 포교하기 위해 지어진 불경이라 할 수도 있고, 석가모니 본생담 혹은 본연담으로 볼 수도 있다. 그간 지림사 연기설화의 유래를 알 수 없었는데, 사실 그 모태는 무속신화 이공본풀이라 할 수 있다. 월인석보는 1459년(세조 5)에 간행되었는데, 여기에 실린 <안락국태자경>은 그 내용이 지림사 연기설화와 거의 동일하여, 지림사 연기설화가 그대로 승계되었다고 볼 수 있다. 다만 지림사 연기설화는 한문으로 쓰여진 것임에 반해 이 작품은 우리말로 언해(諺解)되어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것은 우리말로 풀어쓴 것이기에 후일 고소설 안락국전 같은 국문 소설을 태어나게 하는데 크게 기여했을 가능성이 있다. 실제로 고소설 <안락국전>은 이와 같은 안락국태자경과 거의 동일한 서사구조 위에 작가적인 상상력과 창의력을 동원하여 유교적인 내용과 도교적인 내용을 적절히 첨가하고, 장자못 화소 및 꽃으로 사람을 살리는 생명꽃 화소 등을 첨가하는 등, 여러 가지 내용을 첨삭하여 내용을 아주 다채롭게 만들었다. 그러나 내용은 앞서의 안락국태자경 같은 것을 모본으로 하고 있기에 등장인물도 같고, 내용에도 불교적 색채가 강하게 남아 있다. 지림사 연기설화는 이공본풀이계 작품 중 가장 강하게 우리 민족문화에 그 영향을 미쳤다. 이것은 월인석보의 안락국태자경, 고소설 안락국전을 창출시키기도 했지만, 나아가서는 땅설법 <안락국태자경변상도>, 그리고 사라수탱 같은 불화를 산출시킨 모태로 작용했기 때문이다. 고소설 안락국전은 내용을 중시하면 안락국태자경이 그 원천일 수 있지만, 기원을 더 거슬러 올라가면 바로 지림사 연기설화와 만난다. 그런데 서사구조를 중시하면, 그 시원은 바로 무속신화 이공본풀이인 것이다. 무속신화 이공본풀이의 여정을 이렇게 본다면, 이공본풀이가 월인석보의 안락국태자경이 설화화 되면서 형성된 것이라든지, 아니면 고소설 안락국전 같은 것을 수용하여 형성되었다고 하는 기존의 학설은 논리적으로 맞지 않기에 이제는 수정될 필요가 있다.
1. 머리말
2. 이공본풀이계 서사물인 네 작품의 형성 시기 및 내용과 특징
3. 이공본풀이계 서사물들의 지속소와 변이 내용들
4. 무속신화 이공본풀이의 서사문학적 변용과 그 의의
5.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