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사회가 되면서 문화 교육이 중요해졌고, 다문화사회 초기부터 현재까지 문화 교육은 끊임없이 변화 및 발전하고 있다. 우선, 외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문화교육서부터 시작해 다문화교육 그리고 상호문화교육까지, 사회의 변화와 요구에 따라 문화 교육도 변화 및 발전하고 있다. 그리고 변화하는 문화 교육 중심에는 항상 설화가 함께 한다. 설화가 가진 다중성 혹은 다문화성이 한국문화교육, 다문화교육, 상호문화교육에서 꽃을 피우며 설화를 핵심 텍스트로 선정하게 만든 것이다. 구비문학의 위기를 말하는 현대사회이지만 다문화사회는 오히려 설화의 밟은 미래래라는 새로운 변곡점을 가져다주었고, 이러한 시점에서 1999년부터 2022년까지 약 20년 동안 발표된 문화 교육에서의 설화 연구 현황을 검토하였다. ‘현재까지의 문화 교육적인 설화 연구가 다문화사회에 진정 유효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가?’, ‘이 상황이 계속 지속될 수 있는가?’, ‘나아가 발전 방향은 무엇인가?’와 같은 성찰적 질문 아래 설화의 문화 교육적 연구 현황을 검토한 것이다. 설화의 문화 교육에서의 발전을 도모하는 것은 공존과 통합의 다문화사회를 모색하는 최종 목표와도 맞닿는다. 그래서 설화를 통해 한국문화교육과 다문화교육, 상호문화교육의 방향과 의미를 제시한 80편의 논문을 선정하여 검토하였고, 3가지의 문제점을 확인하였다. 첫째, 설화 연구자들의 본격적인 문화 교육에 대한 연구가 많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둘째, 선정된 한국 설화가 다양하지 못해, 폭넓은 한국 설화의 문화 교육적 연구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상호문화교육이 중요해진 만큼 다국적 설화의 발굴과 비교 문화적 연구가 필요하다. 문화 교육은 설화의 가치를 재발견하게 하며, 설화가 사람들과 함께 살아갈 수 있게 만들었다. 그러나 설화의 문화 교육적 접근은 연구의 양과 질적인 면에서 아직 많은 부분이 숙제처럼 남아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설화의 문화 교육적 연구에서 나타난 한계와 문제점을 극복해 설화의 교육적 가치와 의의를 심화하고 최종적으로는 통합과 공존의 다문화사회를 모색해야 할 것이다.
1. 들어가며
2. 다문화사회를 위한 설화의 문화 교육 연구 현황
2.1. 한국문화교육에서의 설화
2.2. 다문화교육에서의 설화
2.3. 상호문화교육에서의 설화
3. 설화의 문화 교육 연구 동향에 나타난 문제점
4. 나가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