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 근로 발달장애 자녀 부모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for Parents of the Adult Worker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cused on Mediating Effect about Care Burden
본 연구의 주제는 성인 근로 발달장애 자녀 부모의 삶의 만족에 대하여 부모가 인지하는 돌봄부담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내용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한국장애인고용공단「2020년 발달장애인 일과 삶 실태조사」자료의 3,000명 중에서 주요 변수에 모두 응답한 600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Baron & Kenny(1986)의 4단계법에 따른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부모 학력’, ‘부모 건강상태’, ‘가구소득’, ‘주택자가 여부’, ‘장애 자녀 중복장애 여부’, ‘장애 자녀 장애등급’, ‘장애 자녀 근속기간’, ‘장애 자녀의 현 직장 업무 유형’, ‘장애 자녀의 현재 업무 적응상태’는 돌봄부담을 매개로 하여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obel test를 통해 매개효과 검증을 한 결과에서도 돌봄부담은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며, 이 과정에서도 상기의 9개 변수는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성인 근로 발달장애 자녀 부모의 삶의 만족을 질적으로 제고하기 위해서는 성인 근로 발달장애 자녀를 돌봄에 대한 부담을 현실적으로해결할 수 있는 보다 구체적인 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발달장애 자녀와 함께 동거하는 장애가족지원정책 뿐만 아니라 직장 및 우리 사회에서 장애에대한 긍정적인 인식 전개와 안정적인 근로 유지를 위한 장애인고용정책과 행정 및 서비스 전달체계 등에 필요한 정책적․실천적 방안을 제언하였다.
The study sought to examine the effects on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for parents of the adult worker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cused on mediating effect about care burden. It used the data of 600 persons who answered to all of major variables among 3,000 wage workers from the survey of work and life for the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2020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of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The results was proved from the four phases approach method on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of Baron & Kenny (1986), guardian's educational background, health condition, family income, residential price status and the developmental disabilities’s duplicate failure status, disability grade, period of continuous service, current business type, task adaptation. the mediating effect analysis through the Sobel test,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was affected by the care burden.,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about nine ariables. In order to enhance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for parents who the adult worker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study about care burden required the realistic plans focused on understanding about their conditions. Based on these results, the policy and practice about the family and the employment policy, administration, delivery system which the positive disability awareness in work and society and the stable maintenance of work was suggested.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