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회자의 목회 스트레스와 우울, 불안과의 관계에서 감사 성향에 의해 조절된 영적 안녕감의 매개효과
- 이제순 김명식
-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 제34권 제2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3.05
- 107 - 150 (44 pages)
본 연구는 목회자의 목회 스트레스와 우울, 불안과의 관계에서 감사 성향에 의해 조절된 영적 안녕감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대한예수교장로교(통합) 전북지역 8개 노회 목회자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총 325부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SPSS 23.0과 SPSS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주요 변인들의 관계를 분석하였으며, 부스트레핑을 실시해 조절매개효과를 검증했다. 그 결과, 첫째, 목회 스트레스는 우울․불안과 정적 상관, 영적 안녕감 및 감사 성향과는 부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목회 스트레스와 우울․불안의 관계에서 영적 안녕감(전체) 및 그 하위 요인인 종교적 안녕감과 실존적 안녕감의 부분 매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목회 스트레스가 영적 안녕감(전체) 및 그 하위요인인 실존적 안녕감을 매개해서 우울과 불안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감사 성향의 조절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영적 안녕감의 하위요인 중 종교적 안녕감에 대해서는 감사 성향의 조절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목회 스트레스가 우울, 불안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감소시키거나, 예방하기 위해서 영적 안녕감뿐만 아니라, 감사 성향을 증진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가 목회자의 영적 안녕감과 감사 성향 증진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ify the mediating effect of spiritual well-being(religious & existential) between pastoral stress and depression & anxiety, moderated by gratitude disposition. Questionnaires were finally administered to 325 pastors of 8 presbyteries of Jeonbuk Presbyterian Church of Korea, analyzed for the mediating effect of spiritual well-being between them and moderating effect of gratitude disposition on it by SPSS 23.0 and SPSS PROCESS MACRO. As a result, First, pastoral stres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depression & anxiety, negatively with spiritual well-being and gratitude disposition. Second, the mediating effects of spiritual and existential well-being between pastoral stress and depression & anxiety was verified. Third, it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s of them moderated by gratitude disposition. The spiritual well-being and gratitude enhancement program were to be more studied and practiced for pastors’ mental health.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