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JPG
KCI등재 학술저널

편측무시 개선을 위한 작업치료 중재 연구 분석

국내 단일대상연구 중심으로

목적 : 작업치료 분야에서 편측무시 중재를 사용한 연구 중 단일대상연구를 적용한 문헌들의 내용과 특성을 확인하고, 중재 효과 및 질적 수준을 분석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체계적 고찰이며, 2012년부터 2022년까지 최근 10년간 국내 학회지에 게재된 단일대상연구로 진행된 논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 논문 분석 결과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하였으며 중재제거설계가 7편으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고 2편이 복수 기초선 설계였다. 중재제거 설계 중 4편이 ABA설계를 사용하였다. 편측무시에적용한 중재 효과 크기를 분석한 결과 중재 효과 크기는 ‘매우 효과적인 중재’는 7회, ‘효과적인 중재’는 18회, ‘의심스러운 중재’는 5회, ‘비효과적인 중재’는 6회로 나타났다. 논문들의 질적 수준을 분석한 결과 높은 수준이 6편, 중간 수준이 3편으로 낮은 수준의 연구는 한 편도 없었다. 결론 : 연구 결과 편측무시 중재들은 불빛 자극, 로봇 보조 능동운동, 진동 자극 등 다양한 방법을 적용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분석을 통해 임상에서 편측무시 환자에게 중재를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 Among the studies using neglect interventions in the field of occupational therap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literature applying singlesubject studies, and to analyze the intervention effect and quality level. Methods : This study is a systematic review, and the single subject study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for the last 10 years. Results : As a result of the thesis analysis, it was conducted on stroke, and the removal design with seven studies, and two studies were multiple baseline design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ize of the intervention effect applied to neglect, ‘highly effective’ was found seven times, ‘fairly effective’ 18 times, ‘questionable effective’ five times, and ‘unreliable effective’ six times. As a result of the quality level, there were no studies with low level, with six high level and three medium level. Conclusion : As a result of the study, various methods were applied to neglect interventions. It is thought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basic data for evidence-based interventions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Conflicts of interest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