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무용 브랜드자산과 관계지속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설문조사를 통해 선정된 자료는 SPSS Ver. 2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무용인식은 한국무용태도와 한국무용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한국무용태도는 한국무용이미지, 한국무용관람의도 그리고 체험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한국무용이미지는 한국무용관람의도와 한국무용체험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한국무용관람 유무에 따라 한국무용인식, 한국무용태도, 한국무용이미지, 한국무용관람의도 그리고 한국무용체험의도는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무용이 어렵다고 느끼는 사람들도 있으나 현대적으로 해석한 안무 등을 통해 한국무용의 접근성을 높여야 한다. 둘째, 외국인들의 한국문화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한국무용에도 관심을 갖기 시작하였기 때문에 이 기회를 이용하여야 한다. 셋째, 아름다운 곡선미가 포인트인 한국무용을 K-팝에 적용한다면 K-팝 안무의 스펙트럼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dance brand assets and relationship continu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dance brand assets and relationship continuation. Using the data selected through the survey, the research results were derived by conducting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t-test using the SPSS Ver. 27.0 program.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Korean dance recognitio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Korean dance attitude and Korean dance image. Second, Korean dance attitud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Korean dance image, Korean dance viewing intention, and Korean dance experience intention. Third, Korean dance imag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Korean dance viewing intention, and Korean dance experience intention. Fourth,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y had watched Korean dance, there were differences in Korean dance recognition, Korean dance attitude, Korean dance image, Korean dance viewing intention, and Korean dance experience intention. In conclusion, first, there are people who feel that Korean dance is difficult, but we must increase its accessibility through modernly interpreted choreography. Second, since foreign people's interest in Korean culture has increased, we must take advantage of this opportunity. Third, if we apply the beautiful curved beauty of Korean dance to K-pop, it may increase the spectrum of K-pop choreography.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