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보건계열 대학생의 자동제세동기의 태도와 지식이 자동제세동기와 심폐소생술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연구목적: 본 연구는 보건계열 대학생의 자동제세동기의 태도와 지식이 자동제세동기와 심폐소생술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고자 하는 탐색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방법: 보건계열 대학생 3학년 315명을 대상으로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One-way ANOVA, 상관관계 및 회귀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의 자동제세동기의 태도와 지식이 자동제세동기와 심폐소생술 수행능력 정도는 4.21점, 2.65점, 4.01점이고, 자동제세동기와 심폐소생술 수행능력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동제세동기에 대한 태도이고 다음으로 자동제세동기에 대한 지식이었다. 종속변수를 설명하는 설명력은 45.0%이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보건계열 대학생의 자동제세동기와 심폐소생술 수행능력을 높이기 위해 매년 BLS provider 프로그램 참여 등 지식과 태도를 높일 수 있도록 교육과정 개발과 지속적인 교육이 이뤄질 수 있도록 제언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ttitude, and knowledge of AEDs and their effects on AEDs an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performance of college health students Methods :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23.0 program for 315 third-year college students in the health students Results : The degree of attitude and knowledge of AEDs and CPR performance of college health students was 4.21, 2.65, and 4.01 points, and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n AED and CPR performance was attitude toward AED, followed by AED. It was the knowledge of an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The explanatory power to explain the dependent variable was 45.0%. Conclusion : Through this study, it is proposed to develop a curriculum and continue education to improve knowledge and attitude, such as participating in the BLS provider program every year, in order to improve the AED and CPR performance of health-related college students.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