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JPG
KCI등재 학술저널

범주 학습과 사고 과정

Categorization and Thinking Processes

  • 2

범주화는 분류나 변별 활동 등의 기반이 된다. 이 범주화는 특히 새로운 자극에 대해 본적이 있는속성을추론하게 해 준다. 이 범주화를 통해서 대상이 어떻게 표상되고 처리되는가에 대해서 원형이론, 본보기 이론, 규칙 이론 등의 기본 개념을 설명하고, 각 이론의 형식적 모델들의 개요를 논의하였다. 이 범주화의 이론들은 그 표상 과정을 기반으로 내용X 경계, 총체적 X 점진적, 엄격한 부합 X 등급화된 부합이라는 차원에서 분류될 수 있다. 이러한 차원에 비추어 결국 원형이론이나 본보기 이론과 같이 ‘내용’을 표상하는가 하면 다른 이론들은 범주들 사이의 경계를 표상하기도 한다. 이러한 과정을보여주고설명하는데 어느 이론도 완벽하지 않다. 중요한것은어떤상황에서 어떤 표상이 어떻게 처리되는 가를 제대로 보여주고 어떤 장단점이 있는 지를 명확히 해야 한다는 점이다.

Category learning is critically important because it underlies essentially all cognitive activities including classification and discrimination. It also enables us to infer unseen attributes, especially fro novel stimulus. There are a variety of theories, which differs from in terms of representation, kinds of processes describing the learning and classifying activities. Kruschke(2005) indicated that theories of categorization vary three aspects such as contents vs. boundary, global summary vs. piecemeal comments, strict match/mismatch vs. graded similarity. This paper explained major categorization theories such as exemplar theory, prototype theory, and rule theory based upon three aspects, their representation process in terms of formal modeling. This challenge for the future research is determining which representations are used in what situations and how representations trade off in learning and inference.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