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JPG
KCI등재 학술저널

교수-학습의 과정과 창의력 교육

The Subject Area Teaching-Learning Process and the Education of Creativity

이 논문에서는 창의력 교육이 교과교육의 교수 학습의 과정에서 어떻게 통합될 수 있는지를 다소간 포괄적으로 다루었다. 이를 위하여 먼저 창의력 교육이 필요한 논거를 지식 이해의 방식에서 찾아보았고, 그리고 관련의 쟁점들을 분석해 보았다. 그런 다음 창의력 교육의 범위와 내용, 그리고 이들을 교과교육에서 통합적으로 전개하기 위한 전략들을 음미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이들을 바탕하여, 창의력 교육이 교과수업과 어떻게 하나의 바퀴로 통합될 수 있는지를 독서와 작문의 영역에서 예시해 보았다. 창의력 교육은 ‘내용(지식) = 사고’라고 본다. 달리 말하면, ‘내용’(사고)은 사고의 한 가지 양식이라 본다. 따라서 창의력 교육의 수업은 교과내용에 대한 ‘내용목표'와 창의직 사고기능을 개발코자 하는 ‘사고기능 목표'의 두 가지를 가진다. 교과 수업과 창의력 교육을 통합할 때는 독립직 접근 대 통합직 접근, 영역 일반적 접근 대 영역 구체적(특수적) 접근, 및 기능 접근법 대 태도 접근법 등의 이슈가 제기되지만 통합직 수업에서는 절충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그리고 창의력 교육은 무엇을 다루어야 하며 어떤 시퀀스로 어떻게 첩근하는 것이 바람직한 지를 다루었다. 아울러 ‘창의력을 위한' 수업과 ‘창의력의’ 수업을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창의적 독서는 깊은 이해와 비판적 사고의 수준 이상으로 넘어 자신의 아이디어를 생성해 낼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작문에서는 전달하고 싶은 메시지를 개발하고 그것을 독자들이 읽기 쉽고 공감할 수 있게 제시할 수 있어야 함을 강조하고 이들을 위한 지도 요령도 같이 제시해 보았다. 이 논문에서는 창의력 교육에 대한 이론적 근거와 실제를 위한 실천적 전략을 분명하게 이해하고 이들에 대하여 자신감을 가지는 것이 창의력 교육의 진정한 시작이라 전제하고 있다.

This paper examined how the creativity education could be integrated with teaching-learning process of the subject areas. For the purpose, the differential perspectives of understanding knowledge (content of the curricular subject) have firstly been analyzed with the aim of presenting the theoretical rationale of the creativity education and then several critical issues arising therewith. Nextly the scope and content of the creativity education and potential realistic strategies to implement the creativity education in teaching of the school curricular subject areas have been examined. Finally, the assertions discussed have been illustratively demonstrated in the field of creative reading and writing. The creativity education understands content (knowledge) of the subject areas as a different mode of thinking (in other words, knowledge = thinking) and, consequently, its lesson plan has dual purposes such as 'content purpose' and 'thinking skills purpose'. However, several issues could easily be invoked when integrating the creativity education with curricular teaching. It could include issues such as the independent approach vs. the integrated, the domain-general vs. the domain-specific, the skills vs. disposition approach and others. And the paper examined the scope, details and sequences of the creativity education and strategies for implementing them. Finally, the assertions made in the paper have been illustrated with creative reading and w먀ing to demonstrate its validity. Effective reading goes beyond the deep understanding and critical judgment of the text and the creative writing firstly emphasize the generation of messages to deliver. The paper assumes that understanding the clear theoretical rationale and practical strategies of integrating the creativity education with disciplinary teaching could be a real necessity to start the creativity education.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