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선 학교현장에서는 수학과의 경우 아직도 입시위주 교육으로 문제 해결 수업을 위한 적절한 정보와 교수-학습자료가 미흡하며 시간도 부족하다. 또 문제해결력 증진이라는 수학교육의 목표에 가까운 문제 풀이 보다는 제한된 시간 안에 배운 것을 단순히 재생하는 문제풀이로 학생과 교사 모두가 수학교육의 의미를 찾지 못하거나 수학 공포증(mathphobia)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학생 스스로 창의적이고 합리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다양한 수학적 사고와 해결 전략을 분석․개발하여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전라북도에 소재하는 ○○고등학교를 선정하였고 실험대상은 1학년 10단계 과정의 수학과 특기적성 수업을 받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각각 20명씩 선정하고 총원은 40명이었다. 연구문제로는 단원별 문제유형에 따른 수학과 문제해결 전략을 개발하고 문제해결 전략에 따른 수학과 교수-학습 모형을 구안ㆍ적용하였다. Polya의 문제해결 전략의 적용을 통한 문제 해결력 신장 수업을 통하여 학생은 기본 학습 기능의 향상과 수학적 사고력이 신장되고 수학 교과에 대한 흥미도가 높아짐으로 문제 해결에 대한 자신감을 갖게 되어 새로운 문제 사태에서도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 신장되었으며, 교사는 학생들의 능력에 따라 학습전략의 내용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개인차를 고려한 학습지도가 가능하고 교과지도에 전문성이 향상되었다. 이에 문제해결 학습 전략의 투입으로 학습하는 방법을 익히게 하여 자기주도적으로 문제해결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노력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The current situation of math classrooms of secondary schools is somewhat negative, since the instruction focuses on going to college. Insufficient time and instructional and learing resources for problem-solving math are provided. Learners must solve rote problems in a relatively short time instead of solving problems based upon higher-order thinking skills so teachers as well as learners do not understand why they have to learn or solve so many problems or are caught with math phobia. This study try to map out an instructional model using Polya's theory of problem solving and then implemented the model to a math class. To testify the effective ness of the model according to the types of problems, the author selected a high school in Chullabukdo and sampled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which consisted of 20 students respectively. The hypotheses were the math achievement and attitude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will be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showed that after the instruction for the experimental group learners improved mathematical thinking skills and interest in math so that they can succeed in solving the unencountered problems for themselves. Teachers could use different strategies depending on learners and the types of problems so that they developed professional instructional leadership in more positive way. In the future selfregulated strategy including metacognitive strategy should be empolyed flexib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