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대학생 개인의 심리적 역동적 변인 중 두뇌우성 사고유형 및 다중지능유형과 학업성취도가 관계가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2, 3년제 D대학교 1학년 대학생 383명으로 이들의 두뇌우성 사고유형 및 다중지능유형과 학업성취도를 측정하였다. 검사도구는 Herrmann의 두뇌우성 사고유형 검사(BDI)와 대학생 및 성인용 MI발달평가척도(MIDAS)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대학생의 두뇌우성 사고유형과 다중지능유형 간의 관계는 상관성이 있으므로, 두뇌우성 사고유형 및 다중지능유형의 측정결과는 대학생의 심리적 역동적 요인으로 활용 가능하다. 둘째, 대학생의 두뇌우성 사고유형과 학업성취도 간에는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본 연구의 연구대상을 2 3년제 D대학교 1학년 학생만으로 연구가 수행되어 전체 대학생으로 일반화하는데 문제가 있을 뿐 아니라, 학업성취도를 전공 및 학과 구분 없이 1학년 1학기 평균 평점을 기준으로 삼았기 때문에 학업성취 수준을 완전히 밝히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셋째, 대학생의 다중지능유형과 학업성취도 간에는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다중지능유형 집단 간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미분화 집단과 각 다중지능유형으로 분화된 집단 간에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두뇌우성 사고유형과 다중지능유형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이 밝혀졌으며, 두뇌우성 사고유형 및 다중지능유형에 따른 대학생의 학업성취도를 예측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또한 연구의 한계점을 고려한 후속연구를 통해 두 뇌우성 사고유형 및 다중지능유형에 따른 대학생의 학업성취도 향상 전략에 대한 효과검증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ty the relationships among the brain dominance thinking types(A, B, C, D quadrant thinking type), multiple intelligences and academic achievement by the major of university students. The subjects were 383 undergraduate students from the Collage University in Busan.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tests were conducted by using the Herrmann Brain Dominance Instrument and MIDAS for undergraduate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follows ; first, the brain dominance thinking types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to the multiple intelligences. Therefore, the result of the brain dominance thinking types, as well as the multiple intelligences are possible to be used as psychological dynamic factors of University Students. Second, the brain dominance thinking types weren't correlated to the academic achievement. The objects of current study were only D University freshmen, so this caused problem to represent whole University Students. Also, we set the level of school achievement as average grade of first semester in their first year without concerning the major nor department, so there was a limitation of disclosing the level of school achievement among the D University Students. Third, the multiple intelligences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to the academic achievement. The specialized groups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to the unspecialized group but the each specialized group wasn't correlated to it. Therefore, the close correlations between the brain dominance thinking types and the multiple intelligences have revealed and they imply they can predict the level of school achievement of University Students depends on the brain dominance thinking types of the multiple intelligences. Also, a study, concerning the limitation of the current study through the post study is required for effectiveness verification of improvement strategy of University Students' school achievement depend on the brain dominance thinking types and the multiple intellig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