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동스쿠터 사용 노인의 사용 만족도와 사회참여 및 삶의 질의 관계
- 임하림 오명화
-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 제17권 제1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3.05
- 77 - 85 (9 pages)
목적 : 본 연구는 전동스쿠터 사용 노인의 사용 만족도와 사회참여 및 삶의 질 정도와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함이다. 연구방법 : 전남 Y군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노인 100명을 대상으로 전동스쿠터 사용 만족도, 사회참여, 삶의 질에 관한 설문을 자가기입식으로 실시하여 최종 분석 자료로 80부를 이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 전동스쿠터 사용 만족도의 기기만족도는 자기욕구 실현능력(r=.221), 적응성(r=.351), 자존감(r=.451)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서비스만족도는 자기욕구 실현능력(r=.268), 적응성(r=.259), 자존감(r=.387)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사회참여의 생산활동은 자기욕구 실현능력(r=.223), 적응성(r=.299)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 노인의 전동스쿠터 사용 만족도와 사회참여의 생산활동은 삶의 질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전동스쿠터와 같은 이동보조기기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어 지역사회 노인의 이동성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노력으로써 추후 노인의 다양한 영역의 사회참여와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related to user satisfaction, social participation, and quality of life among elder using electric mobility scooters. Methods : For 100 elderly people aged 60 or older residing in Y-gun, Jeollanam-do,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electric mobility scooters user satisfaction, social participation, and quality of life, and 80 survey were used as the final analysis data.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29.0 program. Results : Assistive device satisfaction, a sub-variable of satisfaction of electric mobility scooters,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competence (r=.221), adaptability (r=.351), and self-esteem (r=.451). Service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competence (r=.268), adaptability (r=.259), and self-esteem (r=.387). Economic participation of social participation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competence (r=.223) and adaptability (r=.299). Conclusion : The elderly's user satisfaction with electric mobility scooters and Economic participation of social participation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quality of life. Follow-up studies on mobility aids such as electric mobility scooters are required to improve the mobility problems of the elderly and their quality of life.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solving the mobility problem of the elderly living in the community and hope improving their quality of life and various social participation.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