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PACK 기반 예비음악교사 교육과정 개발 연구 - 질적 고찰 사례 중심으로 -
Empowering Korean Preservice Music Teachers’ Competency of Technological Pedagogical and Content Knowledge (TPACK): A Qualitative Study
- 한국음악교육학회
- 음악교육연구
- 음악교육연구 제52권 제2호
-
2023.05161 - 189 (29 pages)
- 249
본 연구는 예비음악교사의 실천적 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방안의 일환으로 TPACK 기반의 예비음악교사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실천하였다. 서울 소재의 교사양성기관에서 4명의 예비음악교사를 대상으로 15주에 걸쳐 본 연구의 교육과정을 수행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본 교육과정의 일환으로 수행한 TPACK 역량의 질적 고찰 활동의 산출물을 귀납적으로 분석하여 도출하였다. 그 결과, 학기 초 참여자들은 공통적으로 내용 지식과 교수 지식에 비하여 테크놀로지 지식이 가장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나 학기 중간에는 모두 테크놀로지 지식과 교수 지식의 큰 향상이 있었으며, 학기 말 총괄 고찰에서는 교육적 맥락에서 실천적이고 통합적인 TPACK 역량의 증진을 경험하였다고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TPACK 역량의 질적 고찰은 예비교사의 창조적이고 깊은 자기 성찰을 도모한다. 둘째, 현 지능정보사회의 디지털 교육환경에서 교과 내용 체계에 부합하는 수업시연과 플립러닝 등의 다양한 수업 모형의 시연 기회는 실천적 TPACK 역량을 도모한다. 셋째, 실제 교수활동의 맥락에서의 테크놀로지의 분석과 활용 교육은 단순히 테크놀로지 지식이 아닌 실천적이고 통합적인 테크놀로지교수내용 지식을 도모한다. 본 연구는 국내외 동향에서 다소 희소한 TPACK 관련 질적 연구 자료로써 실천적 TPACK 역량의 이론과 실제의 발전에 기여한다.
This qualitative study aimed to explore ways to empower Korean preservice music teachers’ competency of Technological, Pedagogical and Content Knowledge (TPACK). To fulfill the aim, the 15-week TPACK-framework based Multimedia music education course was developed and executed with four preservice music teachers at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Seoul, Korea. The study result is as follows: First, the opportunity for self-reflection diagram and writing practices, guided by the TPACK framework fostered the participants’ self-cultivation. Second, the participants’ flipped-learning teaching demonstration practices in various music educational settings such as performance, appreciation, and composition empowered their practical TPACK competency. Finally, the opportunity to explore and apply the use of technologies in music teaching and learning contexts empowered the participants’ sense of TPACK competency and efficacy.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underrepresented TPACK-related case of Korean preservice music teacher education and qualitative theory and practice.
Ⅰ. 서론
Ⅱ. TPACK 프레임워크
Ⅲ. TPACK 기반 예비음악교사 교육과정의 개발.
Ⅳ. TPACK 기반 예비음악교사 교육과정의 효과: 질적 고찰 사례 중심으로
V. 결론 및 의의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