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JPG
KCI등재 학술저널

사회서비스 근로자의 직무 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안녕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Job Characteristics of Social Service Workers Effect on Job Satisfaction: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Well-being

DOI : 10.38019/kacm.14.1.195
  • 45

본 연구는 돌봄의 탈가족화가 가속화되어 사회 각 영역에서 돌봄의 수요가 높아지는 지금이와 같은 사회현상에 대응하는 사회서비스 근로자의 직무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안녕감의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제6차 근로환경조사(2020)에 응답한 만 90세 미만 사회서비스 임금근로자 1,244명을 대상으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활용해 조절회귀분석을 하고 단순기울기검증으로 조절효과의 유의성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서비스 근로자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특성은 피드백, 과업중요성, 과업정체성, 기술다양성이었으며, 안녕감은 투입한 변수 중 가장 큰 영향력을 나타냈다. 둘째, 사회서비스 근로자의 직무특성 중 자율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안녕감에 따른 조절효과가 있었다.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사회서비스 근로자 안녕감의 차이에 따른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한 실천 및 정책적 방안을 기관 및 지자체 그리고 국가 차원에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ether the job characteristics of social service workers responding to this social phenomenon have different effects on job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level of well-be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1,244 social service wage workers under the age of 90 who responded to the 6th working environment survey (2020). As for the method, the moderating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the significance of the moderating effect was presented through a simple slope 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job characteristics that affect the job satisfaction of social service workers were task feedback, task identity, task significance and skill variety and well-being had the greatest influence among the input variables. Second, among the job characteristics of social service workers, the effect of autonomy on job satisfaction was moderated by well-being.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practical and policy measures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well-being of social service workers were presented at the institutional, local government, and national level.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