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상수리나무와 떡갈나무의 수분과 영양소 구배에 따른 생태지위 중복역

Ecological Niche Overlap Between Quercus acutissima and Q. dentata with Soil Moisture and Nutrient Gradients

DOI : 10.17663/JWR.2023.25.2.159
  • 8

본 연구는 토양의 수분함량과 영양소함량을 4구배로 처리한 후에 나타나는 생육반응의 변화에 따른 낙엽성 참나무 두 종-상수리나무와 떡갈나무-의 생태 지위 중복역을 측정하고 두 종간의 경쟁의 정도를 배열법으로 해석한 것이다. 수분환경 구배에서 두 종의 생태 지위 중복역은 광합성과 관련된 잎 기관에서 높았고, 생물량에서는 낮았다. 영양소 구배에서는 줄기 길이와 같은 식물기하학적 형태적 구조와 관련된 형질에서 높았다. 또한 두 종의 경쟁에서 수분구배의 경우 떡갈나무가 현저히 우세하였으나, 영양소구배에서는 오히려 상수리나무가 떡갈나무보다 약간 우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유사한 환경에서 자라는 유사한 분류군이라도 환경의 종류에 따라 식물체의 형질에 대한 반응이 서로 다르게 나타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measured the ecological niche overlap between two deciduous oak species(Quercus acutissmia and Q. dentata) according to the change in growth responses after treating with the moisture and nutrient contents of the soil at four gradients, and interpreted the degree of competition between the two oak species by ordination method. In the moisture environment gradient, the ecological niche overlap of the two species was high in the photosynthesis-related leaf organs and low in plant architecture such as shoot length. In addition, in case of competition between two oaks, Q. dentata was remarkably dominant in soil moisture gradient, but Q. acutissimia slightly was slightly advantageous over Q. dentata in the soil nutrient gradient. These results show that even in a similar taxonomical group growing in a similar habitat, the response to the organ system of the plant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of environment factor, resulting in different competitive differences among plants.

1. 서론

2. 재료 및 방법

3. 결과 및 고찰

4. 결론

사사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