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JPG
KCI등재 학술저널

중학생의 학업정서조절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

Development of Academic Emotion Regulation Program: Focusing on Middle School Student

  • 21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이 학습 시에 경험하는 부정 정서를 스스로 조절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서 학업정서의 조절에 필요한 구성요소가 문헌분석을 통해서 도출되었다. 도출된 구성요소는 인지 전략과 행동전략으로 구분되는데, 전자에는 정서 인식과 수용, 능동적 사고와 긍정적 재평가, 후자에는 목표지향행동과 도움구하기로 모두 5개이다. 이들 구성요소를 활용해서 학습 시에 자신의 정서를 조절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ADDIE 수업 설계모형에 따라 개발되었다. 분석단계에서는 중학생들의 학업정서실태를 조사하고, 지금까지 개발된 정서조절 및 학업기술 프로그램이 검토되었다. 또한 프로그램의 목표를 설정하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내용분석이 이루어졌다. 다음 설계단계에서는 평가도구와 교수전략이 개발되었고, 개발단계에서는 학업정서조절 체크 리스트와 교재가 개발되었다. 이 프로그램의 내용은 학업정서와 학업정서조절의 이해, 학업정서조절을 위한 기법과 전략의 이해, 이들 기법과 조절의 적용 및 연습이다. 이들 내용은 주의집중, 학습목표, 자료제시, 연습과 정리의 단계에 따라 학습이 수행되도록 개발되었다. 마지막 실행 및 평가단계에서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형성평가와 수정이 이뤄졌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은 자율적 학습 프로그램이며, 정서조절기법과 학습기술을 통합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이 프로그램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한 후속 연구가 제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rogram to teach techniques and strategies to self-regulate emotions when students experience negative emotion in learning situations.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researchers first derived the components related to the academic emotion through the related literature review. Five components of academic emotion were derived: Next, we used ADDIE model to develop a program to teach learners' techniques and strategies to control their emotions in learning situations by utilizing these components. It was developed with the techniques and strategies for developing the ability to control academic emotions for middle school students using the five components of academic emotion regulation. This program consisted of 3 units and 8 chapters. The 8 chapters are 2 concepts of academic emotion and emotion regulation, five techniques and strategies for academic emotion regulation, and one application and practice. Each chapter consisted of attention, learning objectives, data presentation, practice and organization. The academic emotion regulation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self-learning situation of learners. And this study has an implication on integration the techniques and strategies of academic emotion with students' learning skills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