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Research on chinese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f korean image

중국 대학생의 한국 이미지에 대한 인식 연구

  • 55
표지.JPG

본 연구의 목적은 주로 대학생들의 한국에 대한 국가적 인상을 알아보는 것이다. 중국의 핵심 대학을 선정하여 재학생들의 한국에 대한 전반적인 인상, 외교적 이미지, 음식문화, 언어문화, 관광, 연예계 등의 측면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내용은 현재 중국 대학생들이 바라보는 한국의 이미지에 관한 것으로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중국 대학생들의 한국에 대한 전반적인 이미지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둘째, 외교, 언어, 음식, 관광, 연예계에서 현재 중국 대학생들의 한국 이미지에 대한 인식을 알아 보고, 중국 대학생들이 인식하는 한국에 대한 이미지의 내적 차원을 분석하였다. 셋째, 현재 중국 대학생들의 한국인에 대한 전반적인 이미지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중국 대학생들의 한국인 이미지에 대한 내면적 차원을 분석하였다. 넷째, 중국 대학생들의 한국 이미지에 대한 평가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는 소통이론과 이문화소통이론을 결합하여 모든 주체의 관점과 성별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국가이미지의 발전에 대한 제언과 전망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mainly studies the national impression of college students on South Korea, selects students from some key universities as the target population, and conducts an in-depth investigation from the overall impression of South Korea, diplomatic image, food culture, language culture, tourism, entertainment circle and other aspects.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of Chinese college students, this paper studies the image of South Korea in the eyes of contemporary Chinese college students, including the following aspects: First, Research the current Chinese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f the overall image of South Korea; Second, it studies the current Chinese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f the image of South Korea in the diplomatic, language, food, tourism and entertainment circles, and analyzes the internal dimensions of the image of South Korea in the minds of Chinese college students; Third, it studies the current Chinese college students' cognition of the overall image of South Koreans, and analyzes the internal dimensions of the image of South Koreans in the minds of Chinese college students; Fourth, to investigate the evaluation of Chinese college students on the image of South Korea. The survey results are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s of all subjects and gender differences, combined with the theories of communication and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nd suggestions and prospect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 national image are made.

Ⅰ. Introduction

II. Questionnaire design and implementation

III. Basic analysis of questionnaire data results

Ⅳ. Correlation analysis based on gender background

Ⅴ. Conclusions and Recommendations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