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JPG
학술저널

대학생의 비교과 교육 참여 유형 및 교육성과 분석: K 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A Typology of Extra-curricular Programs Participation and Learning Outcomes - Focusing on the Case of K University -

  • 247

본 연구는 대학생의 비교과 교육성과를 살펴보고자 K 대학교 학생들이 실제 참여한 비교과 프로그램 이수결과를 바탕으로 유형을 구분하고, 유형별 학업성취를 비롯한 주요 핵심역량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문제 검증을 위해 핵심역량진단검사 수행 학생 중 비교과 프로그램 이수경험이 있는 959명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K-Means 군집분석과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교과 프로그램 이수결과에 따라 4개 유형으로 분류되었는데, 성장잠재형, 무심형, 반짝참여형, 자기주도적 성장형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각 유형에 속한 학생의 학년별, 단과대학별, 입학전형별 특징을 살펴본 결과, 자기주도적 성장형에는 2학년과 4학년, 해양과학기술융합대학 학생들의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셋째, 각 유형별 교육성과에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한 결과 평균 평점과 하위 핵심역량 중 지식정보활용, 세계시민성, 자기관리역량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기주도적 성장형의 학생들의 평균 평점과 자기관리역량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실제 이수현황 데이터를 통해 참여특징을 유형화함으로써 학생경험을 이해하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했다는 점, 우수집단을 2개로 세분화함으로써 2학년에 주의를 환기하도록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를 계기로 종단데이터 구축을 통한 추적 관찰 시스템을 통한 성과분석 체제 구축과 2학년 단계에 적합한 프로그램의 개발을 제안하였다.

Focusing on the case of K Universit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ssify types according to how actively, and continuously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program, and to examin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major core competencies, including academic achievement. To verify the research problem, data from 959 students who had participated the extra-curriculum program among the students who took the core competency diagnostic test were collected, and K-Means cluster analysis and one-way variance analysis were conducte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lassified into four typ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ompletion of the extra-curriculum program, and named as potential-growth, indifference, temporary participation, and self-directed growth.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belonging to each type by grade, college, and admission types, the proportion of students in the second and fourth grades of self-directed growth was significantly high.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academic performance for each type,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average ratings, utilization of knowledge information, global citizenship, and self-management capabilities. In particular, the average score and self-management competency of students with self-directed growth type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high.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