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법무보호공단에서 법무보호대상자(출소자)에게 심리상담서비스가 제공된 이래 그동안의 상담서비스에 대한 공단 내·외부 전문가의 인식이 어떠한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에 소속된 상담직 8명, 일반직 8명 및 정부 및 공공기관에서 출소자 관련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공단 외부전문가 8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Krippendorff(2003)가 제안한 내용분석 절차와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심층면담자료를 분석한 결과, 공단의 심리상담서비스에 대한 인식은 ‘공단 심리상담서비스의 효과’, ‘공단 심리상담서비스 운용 과정에서의 어려움’, ‘공단 심리상담서비스와 보호사업이 시너지를 낼 수 있는 방안’, ‘공단 심리상담 서비스 발전을 위한 제안’의 4개 차원, 28개 범주, 81개의 의미내용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challenges in the performance and operation of psychological counseling services provided by the Korea Rehabilitation Agenc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ight counselors, eight general workers, and eight external experts affiliated with the agency, focusing on prisoner-related duties. Data was analyzed using Krippendorff's (2003) content analysis method, revealing four dimensions: the effects of the counseling service, operational difficulties, synergy creation measures, and development proposals. In total, 28 categories and 81 meanings were identified concerning the counseling service and its operational challenges. The study concludes with a discussion and implications based on the findings.
방법
결과
논의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