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JPG
KCI등재 학술저널

대학생의 대학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Analysis of Variables Affecting College Students’ Engagement

본 연구의 목적은 학령인구 급감과 COVID-19 시기 학업을 포기하고 대학을 떠나는 중도이탈 대학생 비율이 증가하는 우리나라 대학 위기의 상황에서 어떤 변인이 대학생의 대학몰입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대학생의 인구통계학적인 배경변인과 유의미한 학습경험, 자기주도학습, 협력학습, 교수-학생 상호작용, 효과적 수업인식, 학업적 자기효능감, 교우관계, 지원적 대학환경, 진로성숙도가 이들의 대학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였다. 서울 소재 사립대학 S대학의 ‘2022년 학부교육 실태조사(K-NSSE)’에 참여한 재학생 625명의 응답을 분석하였고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두 독립집단 t-test와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다중회귀분석(MR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응답자의 배경변인 중에서는 1학년이 2학년보다, 수시 입학생이 정시 입학생보다, 특성화고 출신자가 일반고나 자율고 출신자보다 대학몰입이 높게 나타났다. 연구변인 가운데서는 교우관계, 효과적 수업에 대한 인식, 진로성숙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지원적 대학환경 순으로 대학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생들이 만족감을 가지고 학업 및 대학생활에 전념할 수 있도록 대입 이전 경험에 입각한 지원방안 마련, 학내 교류활동 촉진 프로그램 강화, 다양한 멘토링 프로그램 강화 등 대학생의 대학몰입도 강화를 돕는 정책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college students' engagement in the context of the crisis in Korean universities. To achieve this, the study verifies the influence of demographic background variables, significant learning experiences, self-directed learning, collaborative learning, faculty-student interaction, perceived effective teaching, academic self-efficacy, friendships, supportive college environment, and career maturity affect their college engagement. The study analyzed the responses of 625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2022 Undergraduate Education Survey (K-NSSE)” conducted at S University, a private university in Seoul. Two independent samples t-tests,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RA) were conducted to accomplish the research objective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among the demographic variables, first-year students exhibited higher levels of engagement compared to second-year students, early admission students showed higher engagement than regular admission students, and students from specialized high schools demonstrated higher engagement compared to students from general or autonomous high schools. Based on the findings, the discussion focused on policy implications such as developing support measures based on pre-college admission experiences to enhance students' satisfaction and dedication to their studies and college life, strengthening programs that promote on-campus exchange activities, and enhancing various mentoring programs to foster greater college student engagemen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IV. 결론 및 논의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