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대학생의 수면문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재평가와 표현 억제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The Relation between Sleep Problems and Depression of College Students: Testing Mediating Effects of Cognitive Reappraisal and Expressive Suppression

  • 461
표지.JPG

본 연구의 주목적은 대학생의 수면문제와 우울 간 관계에서 인지적 재평가와 표현 억제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전국 5개 지역의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375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였다. 기술통계, 독립표본 t 검증, 상관관계분석, Process Macro 4.1의 병렬다중매개모형을 이용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대학생의 수면문제, 인지적 재평가 및 표현 억제와 우울 수준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대학생들이 수면문제를 자주 경험할수록 인지적 재평가 전략을 더 적게 사용하였고, 우울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인지적 재평가 전략을 더 많이 사용할수록 우울이 낮게 나타났다. 반면, 표현 억제 전략의 사용은 수면문제나 우울과 별다른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 셋째, 병렬다중매개모형을 검증한 결과, 대학생의 수면문제는 우울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인지적 재평가를 통해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쳤다. 즉 대학생들이 수면문제를 많이 경험할수록 우울이 심했을 뿐 아니라 수면문제를 자주 경험할수록 인지적 재평가 전략을 덜 사용하였으며 이는 우울을 악화시키는 기제로 작용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의 우울 예방 및 중재에 있어 수면의 질 관리 및 적절한 정서조절전략의 사용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the mediating effects of cognitive reappraisal and expressive suppression in the relation between sleep problems and depression in college students. Participants were 375 undergraduate students recruited from nationwide universities. Sleep problems, cognitive reappraisal, expressive suppression, and depression were assessed by a self-report using web-based questionnaire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Pearson’s correlations, and regression analyses in PROCESS macro version 4.1.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levels of sleep problems, cognitive reappraisal, expressive suppression, and depressio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s a function of gender. Second, greater sleep problems were associated with less use of cognitive reappraisal and higher depressive symptoms while the use of expressive suppression was not associated with sleep problems or depressive symptoms. Third, sleep problems were linked to greater depressive symptoms directly and indirectly by way of less use of cognitive reappraisal. The findings suggest that sleep problems and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may play important roles in preventing depression in college students.

I. 서론

II. 연구방법

III. 결과 및 해석

IV. 논의 및 결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