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도분석과 LDA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장애유아통합교육 국내연구 동향분석: 1998~2022년 논문을 기준으로
Domestic research trends analysis on inclusiv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using frequency analysis and LDA topic modeling: Based on papers from 1998 to 2022
-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 한국유아교육연구
- 제25권 제2호
- : KCI등재
- 2023.06
- 61 - 90 (30 pages)
본 연구는 장애유아통합교육에 관련된 국내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KCI(Korea Citation Index) 데이터베이스에서 전체연도 검색을 통해 수집된 논문을 기반으로 빈도분석 및 LDA(Latent Dirichlet Allocation) 토픽 모델링 분석을 실시하였다.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관한 키워드 검색을 통해 지난 25년(1998년~2022년) 동안 게재된 해당 분야의 논문 156편을 수집한 후, 연도별/학술지별/연구자 소속학과별빈도분석을 진행하였다. 키워드 분석과 LDA 토픽 모델링 분석에는 초록 및 키워드가 없는 논문을 제외한142편의 논문에서 추출된 비정형의 텍스트 데이터가 활용되었다. 그 결과, <사전-사후 비교연구>, <협력체계구축과 지원의 필요성>, <통합교육활동 참여경험과 영향>,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태도>, <통합환경에서 장애-비장애유아의 사회⋅정서발달 및 인식>, <연구분석방법의 활용>, <부모 또는 기관장의 인식및 문헌연구>로 명명된 7개의 토픽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장애유아를 위한 통합교육의 질과 접근성의개선뿐만 아니라 향후 장애유아통합교육 관련 국가 정책에 의미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In this study, frequency analysis and LDA (Latent Dirichlet Allocation) topic modeling analysis were conducted based on the papers collected through an all-years search in the KCI (Korea Citation Index) database to examine the trends of domestic research related to inclusiv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fter collecting 156 papers from the field, which were collectively published over the past 25 years (1998-2022) through keyword searches on “inclusiv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by year, academic journal, and researcher's department. Next, unstructured text data extracted from 142 papers excluding papers without abstracts were used for keyword analysis and LDA topic modeling analysis. As a result, seven topics named <Pre-and Post-comparative studies>, <Need for a cooperative system and support>, <Experiences and impacts of participating in inclusive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inclusive education>,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in inclusive environment>, <Utilization of research analysis method>, and <Recognition of parents/directors and literature Research> were deriv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its contribution to future national policies on inclusiv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s well as improving the quality and accessibility of inclusive education.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