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JPG
KCI등재 학술저널

직장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업무불안과 역할수행 간의 관계 - 원장 및 동료교사의 사회적 지지의 중재효과

The Mediated Effect on Social Support at Childcare Centers on the Relation between Role Performance and Work Anxiety of Childcare Teachers

본 연구에서는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업무불안과 역할수행, 어린이집에서의 사회적 지지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 업무불안에 따른 역할수행과 사회적 지지의 중재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D시에 위치한 직장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만 3~5세 유아반 담임교사 11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사용된 설문지는 보육교사의 업무불안을 측정하기 위하여 교사용 불안검사지(STAS)를 이혜리(2016)가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기 위하여 박지원(1985)이 개발하고 김윤지(2017)가 유치원 교사용으로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또한 보육교사의 역할수행은 이희경과 김성수(2002)가 개발한 도구를 박복매(2011)가 수정ㆍ보완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이 연구의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증, ANOVA, Tukey의 사후검증,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업무불안과 역할수행은 보육교사의 연령과 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최종학력에는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보육교사의 업무불안과 역할수행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수업불안을 많이 경험하는 교사일수록 보육 및 기본생활지도나 교육 및 교수활동을 수행하는데 있어 어려움을 겪는다고 할 수 있다. 셋째, 보육교사의 업무불안과 역할수행의 관계에서 원장과 동료교사의 사회적 지지의 중재효과가 나타났다. 원장의 사회적 지지의 중재효과는 불안이 높은 교사가 보육 및 기본생활지도, 교육 및 교수활동을 수행할 때 효과적이었으며, 불안이 낮은 교사의 경우 상담 및 정서적 지원, 연구 및 반성적 실천, 관리적 역할을 수행할 때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동료교사의 사회적 지지의 중재효과는 불안이 높은 교사가 보육 및 기본생활지도, 상담 및 정서적 지원, 관리적 역할을 수행할 때 효과적이었으며, 불안이 낮은 교사가 연구 및 반성적 실천 역할을 수행할 때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보육교사의 업무불안과 역할수행에 어린이집에서의 사회적 지지의 중재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보육교사의 역할수행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업무불안을 높은 교사들에게는 동료교사의 사회적 지지, 업무불안이 낮은 교사들에게는 원장의 사회적 지지를 통하여 역할을 더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대상에 맞는 교사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시와 교사 연수 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보육교사에게 사회적 지지를 제공하는 원장과 동료교사도 스트레스나 소진이 올 수 있으므로 이를 해소하고 격려할 수 있는 프로그램 또한 함께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confirmed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anxiety, role performance of teachers at a childcare centers and social support. In addition, role performance according to work anxiety and the mediated effect of social support were investigated. We selected 116 teachers who teach at a childcare center in Daejoen. Lee Hye-ri’s (2016) and Park Ji-won’s (1985) questionnaires were used and modified by Kim Yun-ji (2017), Lee Hee-kyung and Kim Seong-su (2002), and Park Bok-mae (2011). For statistical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he results showed a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work anxiety and role performance of the childcare teacher. Based on this study, to improve the role performance of childcare teacher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implement suitable programs and teacher training. Teachers with high work anxiety should use the social support of co-worker teachers, whereas teachers with low work anxiety should use the social support of the director. In addition, directors and co-worker teachers who provide social support to childcare teachers can suffer from stress and burn -out. Therefore, teacher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o solve these problems and encourage teacher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