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우수등재 학술저널

요동지역 고구려성의 입지와 공간분석

고구려성은 구조 및 축조 시기, 분포를 중심으로 방어체계와 지방지배체계 등의 논의가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남한의 일부 유적을 제외하면 중국과 북한 등지에 소재한 고구려성에 대한 발굴조사가 이루어진 사례는 많지 않다. 따라서 고구려성의 초축 시기나 사용 주체가 명확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이러한 조사의 부진과 자료에 대한 접근의 제약 등은 연구의 진전에 커다란 장애가 되어 왔다. 이 글에서는 자료가 가지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표고측량이 불가능한 해외지역에서도 지형분석이 가능한 ‘ASTER 30m DEM’ 이라는 지형데이터를 활용하여 요동지역에 소재한 고구려성 51개소에 대한 공간분석을 하였다. 요동지역에 소재한 고구려성의 공간분석은 성이 입지한 주변환경을 살펴본 입지환경 정보와 성안의 공간 활용 정도를 분석한 공간정보로 구분하였다. 입지환경 정보에는 고도, 경사도 등의 지형적인 정보를 분석대상으로 삼았으며, 공간정보에서는 성 내부에 위치한 유구의 경사도를 분석하여 성 내부에서 최대로 활용할 수 있었던 가용면적을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서 성 내부의 가용면적에 따른 가용인원의 수도 산정할 수 있었다. 성의 전체 면적이 클수록 성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인구 수도 증가하는 것은 당연하다. 지금까지 전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고구려성의 규모에 대한 제원은 성벽의 길이를 뜻하는 둘레 길이가 면적보다는 널리 알려져 있기 때문에 그에 따른 분류가 많이 이루어질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고구려는 평지성보다는 산성을 선호하였고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이러한 산성은 지형 경사도에 큰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성 내부의 주둔 병력 및 수용인원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은 성 내부의 지형 경사도가 반영된 가용면적인 것으로 보인다.

Discussion surrounding Goguryeo fortresses has mainly been focused on their structure, construction period, as well as the associated defense system and local ruling system. However excluding a few sites located in South Korea, there are very few cases of excavation research on Goguryeo fortresses found in China, North Korea, and so on. Therefore in many cases the construction period or occupants of such fortresses are unclear. Such a lack of research and limited access to references have acted as a great barrier to the progression of research. This paper presents the results of spatial analysis that was undertaken on 51 Goguryeo fortresses located in the Liaodong region, through usage of terrain data from the ASTER 30m DEM which allows for terrain analysis in foreign regions where elevation measurement is impossible, thus implementing one of the methods to overcome reference limitations. The spatial analysis undertaken on the Goguryeo fortresses located in the Liaodong region can be categorized into that which aimed to obtain information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 which the fortress was situated, or spatial information on the degree of spatial usage within the fortress. Environmental information was obtained by analyzing terrain information such as altitude, slope. Meanwhile, spatial information was obtained by analyzing the slope of archaeological features placed within the fortress, which allowed the maximum available area to be discerned. Such an analysis facilitated the calculation of the possible maximum population, based on the available area within the fortress. Needless to say, the larger the overall area of the fortress, the larger the population that can reside within its walls. So far, data concerning the size of Goguryeo fortresses have generally been about the length of the fortress walls, which is equivalent to the castle’s circumference, and subsequently the fortresses have been categorized according to such measurements. However, the people of Goguryeo preferred to make active use of mountain fortresses as opposed to flatland fortresses. Such mountain fortresses were, as expected, heavily influenced by the slope of the terrain. Therefore the actual influence on the possible maximum population and on the forces stationed within the fortress seems to have been the available area, which reflects the slope of the terrain within the fortress.

Ⅰ. 머리말

Ⅱ. 고구려성의 분포와 입지조건 검토

Ⅲ. 요동지역 고구려성의 공간분석

Ⅳ.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