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통일신라 왕릉 편년연구

The Chronological Order of Unified Silla Royal Tombs

  • 543

통일신라 왕릉의 편년에 관한 연구는 조선 후기인 18세기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오랜 기간에 걸쳐 수십 편이 축적되어 있다. 하지만 그 결과는 크게 상이하여 각 전칭왕릉의 조영 연대는 물론이며 상대 순서마저도 일치를 보이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고는 선행연구를 정리하고 그들에서 어떠한 문제점이 제기될 수 있는지, 또 어떻게 보완될 수 있을지를 검토함으로써 연구방법을 설정하였다. 우선 편년에 있어 절대연대 자료로써 활용되는 ‘피장자가 명확한 왕릉’은 선덕여왕릉, 무열왕릉, 傳신문왕릉(효소왕릉), 성덕왕릉, 원성왕릉, 흥덕왕릉의 6기만을 인정하였다. 편년 방법으로는 순서배열법을 적용하였는데 이에 활용된 속성은 호석 구조, 상석, 난간석(주), 왕경과의 위치관계, 입지지형의 다섯 가지이다. 그리고 출토유물, 매장주체부 구조, 상석 안상문을 검토하여 순서배열 결과를 검증·보완하기도 하였다. 그리하여 도출된 본고의 통일신라 왕릉 편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선덕여왕릉(647년경) → 무열왕릉(661년경), 傳진평왕릉, 傳김인문묘, 傳김양묘, 傳경명왕릉, 傳아달라왕릉, 傳내물왕릉, 傳효공왕릉(7세기 중~후엽), 傳신덕왕릉(7세기 후엽), 용강동 고분(초축: 7세기 후엽, 개축: 8세기 중~후엽), 소현리 석실분(조영: 7세기 후엽, 십이지신상 후보: 8세기 중~후엽) → 傳신문왕릉(효소왕릉, 702년경) → 신당리 석실분, 傳민애왕릉, 傳헌강왕릉, 傳정강왕릉, 傳효소왕릉(8세기 전엽) → 성덕왕릉(조영:737년경, 능원석각 후보: 8세기 중~후엽) → 구정동 방형분(8세기 중~후엽), 傳황복사지 십이지(8세기 중엽 또는 그 이후) → 원성왕릉(798년경) → 傳헌덕왕릉(9세기 전엽) → 흥덕왕릉(정목왕후릉 조영: 826년경, 흥덕왕 합장: 836년경) → 傳김유신묘, 구황동 미완성 왕릉(9세기 전엽 늦은 시점~중엽 이른 시점) → 傳경덕왕릉(9세기 중엽 이른 시점) → 傳진덕여왕릉(9세기 중엽 또는 그 이후).

The royal tombs of Unified Silla have received great attention from various academic fields, including ancient history, art history, and archaeology. However, the researchers of each field have different opinions on the ‘chronological order’ of these tombs. Therefore, this paper examines the pre-existing research on the topic, as well the excavation results that are relevant to the establishment of a chronological order, followed by a consideration of some associated problems. Research methods for improvements are also suggested. The results concerning the chronological order of the tombs is as follows. Royal Tomb of Queen Seondeok (632) → Royal Tomb of King Muyeol (661) → tomb attributed to King Jinpyeong, tomb attributed to Kim In-mun, tomb attributed to Kim Yang, tomb attributed to King Gyeongmyeong, tomb attributed to King Adala, tomb attributed to King Naemul, tomb attributed to King Hyogong’s (mid-late 7th century), tomb attributed to King Sindeok (late 7th century), tomb located in Yonggang-dong (constructed in the late 7th century, reconstructed in the mid-late 8th century), stone chamber tomb located in Sohyeon-ri (constructed in late 7th century, the associated twelve zodiac statues erected in the mid-late 8th century) → tomb attributed to King Sinmun (Royal Tomb of King Hyoso, 702) → stone chamber tomb in Shindang-ri, tomb attributed to King Minae, tomb attributed to King Heongang, tomb attributed to King Jeongang, tomb attributed to King Hyoso (early 8th century) → Royal Tomb of King Seongdeok (constructed around 737, associated stone sculptures erected in the mid-late 8th century) → square tomb in Gujuong-dong (mid-late 8th century), twelve zodiacs from the temple remains attributed to Hwangbok-sa Temple (mid-late 8th century or later) → Royal Tomb of King Wonseong (798) → tomb attributed to King Heondeok (early 9th century) → Royal Tomb of King Heungdeok (constructed in 826, additional burial in 836) → tomb attributed to Kim Yu-sin, incomplete royal tomb located in Guhwang-dong (early-mid 9th century) → tomb attributed to King Gyeongdeok (mid 9th century) → tomb attributed to Queen Jindeok (mid 9th century or later).

Ⅰ. 서론

Ⅱ. 문제제기와 연구방법

Ⅲ. 형식분류와 순서배열

Ⅳ. 비교자료를 통한 검증·보완

Ⅴ.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