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연구는 형법범죄율과 총경찰관 수 연간 시계열 자료로 상호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형법범죄율과 총경찰관 수에 관한 연구에서 사용되는 자료는 1976년부터 2021년까지 46개 형법범죄율과 총경찰관 수 연간자료이다. 형법범죄율과 총경찰관 수의 두 지표간의 인과관계와 상호영향력을 살펴봄으로써 두 변수 간 영향력의 정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형법범죄율과 총경찰관 수 연간 시계열 자료의 안정성 여부의 검정을 위한 단위근 검정과 형법범죄율과 총경찰관 수 연간 시계열 자료의 두 변수 간의 안정적이고 장기적인 관계 검정을 위한 공적분 검정과 형법범죄율과 총경찰관 수 연간 시계열 자료 간 상호 미치는 영향력 분석을 위한 VAR 모형과 형법범죄율과 총경찰관 수 연간 시계열 자료의 예측오차 분산분해기법과 충격반응 방법으로 분석하고 형법범죄율과 총경찰관 수의 원인변수를 파악하기 위하여 Granger 인과관계 검정을 실시하였다. 형법범죄율과 총경찰관 수 연간 시계열 자료의 실증분석 주요결과는 형법범죄율과 총경찰관 수 연간 시계열 자료 간의 상관관계는 0.79로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으나 그레인저 인과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형법범죄율과 총경찰관 수 연간 시계열 자료의 변화는 형법범죄율과 총경찰관 수 연간 시계열 자료의 변화에 그레인저 인과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상호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어 형법범죄율이 늘어난다고 하여 총경찰관 수만 늘릴 것이 아니라 경찰관의 배치와 교육에 치중하여 형법범죄율을 줄이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mutual effects of the criminal law crime rate and the number of police officers using annual time series data. The annual data for 46 criminal law crimes and the total number of police officers from 1976 to 2021 was collected. By examining the causal relationship and mutual influence between the two indicators, the degree of influence between the two was analyzed. The unit root test examined the stability of annual time series data and the cointegration test assessed the stable and long-term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The vector autoregressive (VAR) model was used to analyze the mutual influence between the annual time series data. The forecast error variance decomposition method of the prediction error of the annual time series data and the shock response method were performed. To identify the causal variables of the criminal law crime rate and the total number of police officers, the Granger causality test was performed. The empirical analysis revealed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of 0.79 between the criminal law crime rate and the annual time-series data of the number of police officers. No Grainger causal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the annual time-series data of the criminal crime rate and total police officers, revealing they do not affect each other. With increasing criminal law crime rates, not just the quantity but the quality of police officers should be improv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자료 및 연구모형
Ⅳ. 실증연구결과
V.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10)
- 평생교육 단과대학 성인학습자의 직업기초능력 분석: Y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청소년 게임중독의 의료화 현상에 대한 연구
-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성과와 신용위험
- 영동고속도로 결빙사고 다발구간의 교통사고 심각도 영향요인 분석
- 영구임대아파트 거주 장애인의 지역공동체의식 수준이 사회참여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관계망 매개효과 검증
- 코로나19가 국내 부동산시장에 미치는 영향과 변화에 관한 연구
- 청·중년층 1인가구와 다인가구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인식 비교: 2021년 지역사회건강조사를 중심으로
- 우울감이 불면에 미치는 영향: 비합리적 수면 신념과 수면 노력의 이중매개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 LDA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역대 대통령 취임사에 내재된 정책기조 분석
- 형법범죄율이 경찰관 수에 상호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