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중년층 1인가구와 다인가구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인식 비교: 2021년 지역사회건강조사를 중심으로 - 학지사ㆍ교보문고 스콜라
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논문
표지.JPG
KCI등재 학술저널

청·중년층 1인가구와 다인가구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인식 비교: 2021년 지역사회건강조사를 중심으로

Comparing of Physical and Mental Health Perceptions between Young and Middle-aged Single-Person and Multi-Person Households: 2021 Community Health Survey

초록

본 연구는 질병관리청에서 발행한 2021년 지역사회건강조사를 활용하여 청년층과 중년층의 1인 가구와 다인 가구의 신체적ㆍ정신적 건강인식을 비교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만19∼49세의 1인가구와 부부 및 미혼자녀로 구성된 다인가구이다. 분석은 SPSS 26.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복합표본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신체적 건강인식 중 주관적 건강인지, 미충족 의료, 최근 2년간 건강검진 및 암검진에서 1인가구와 다인가구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신적 건강인지에서는 1인 가구가 다인 가구보다 우울점수와 스트레스 수준이 높았으며 행복감 지수는 다인 가구가 더 높았다. 결론적으로, 1인 가구 증가로 인한 출산율 저하, 의료비 상승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1인 가구를 대상으로 한 정책뿐만 아니라 안정적인 출산 정책 등 다인 가구를 대상으로 한 다양한 정책을 마련하여 다인가구 형성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This study compares the physical and mental health perceptions of young and middle-aged single-person and multi-person households using the 2021 Community Health Survey published by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participants included 19-49 year old people, and were composed of single-person households and multi-person households consisting of married couples and unmarried children.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6.0 for composite sample analysis. Concerning physical health perceptions, the results showed a difference between single-person and multi-person households in subjective health awareness, unmet medical care, and health checkups and cancer screenings for the last two years. In addition, regarding mental health, single-person households had higher depression scores and stress levels than multi-person households. In conclusion, to solve issues related to an increase in singleperson households, such as a decrease in the birth rate and a surge in medical expenses, various policies targeting single-person and multi-person households, such as stable childbirth, should be adopted.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