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JPG
KCI등재 학술저널

코로나19 상황에서 학교폭력 관련 학생과 일반학생의 일상생활 및 심리 정서적 경험의 차이

Differences of Daily Life and Psychological & Emotional Experiences between School Violence-related Students and Ordinary Students in the COVID-19 Situ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상황에서 일상생활, 심리・정서적 경험, 필요한 도움 등에 있어 학교폭력 피해학생, 가해학생 그리고 일반학생 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재난 상황에서 학교폭력 관련 학생을 도울 수 있는 시사점을 찾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 ○○구 청소년 위기실태조사 원자료를 활용하여 2차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관내 초중고 학생 1139명이다.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또 집단 간 차이가 어느 집단의 차이인지 알기 위해 두 집단별로 교차분석을 재실시하여 사후검증 하였다. 분석 결과 코로나19 상황에서 일상생활의 경험은 가해학생의 집밖에서 친구를 만나며 시간을 보낸 경험이 일반학생 및 피해학생보다 유의하게 많았다. 정서적 경험의 경우 피해학생이 부정적 정서나 대인관계의 힘든 점을 일반학생 및 가해학생보다 유의하게 많이 느꼈다. 자살 관련 경험은 가해학생과 피해학생이 일반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특히 피해학생의 경우 일반학생보다 코로나19로 인해 자살 관련 경험이 더 심각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상황에서 심리・정서적 도움에 대한 요구는 일반학생보다 가해학생에게 유의하게 높았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국가적 재난 상황에서 학교폭력 관련 학생을 위한 지도 및 개입 방안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find out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experiences - like the daily lives, psychological and emotional experiences, necessary help, etc - between school violence-related students and ordinary students during the COVID-19 situation, to find implications to help students related to school violence. Therefore, the second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the 00-gu, Seoul Youth Crisis Survey Institute. The analysis targets were 1,139 jurisdiction student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chi-square(χ2) test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addition, in order to know where comes the difference (from which group), cross-analysis was re-conducted for each of the two groups and then post-verified.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perpetrator had more daily experience of meeting friends outside the house than the ordinary/victim students, as a significantly meaningful difference. In terms of emotional experience, the victim students felt significantly lot of negative emotions or difficultie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howing differences from ordinary/perpetrators students. Suicide-related experienc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perpetrators/victim students than in ordinary students, and in particular, COVID-19 made suicide-related experiences of victim students more serious than ordinary students. In the COVID-19 situation, the demand for psychological/emotional help was meaningfully higher among perpetrators students than ordinary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implications of guidance for school violence-related students and the intervention strategies in national disaster situations were discussed.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