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기초학습부진아 교육의 운영 체제를 거시적인 관점에서 초등학교 교육 현장에서 어떻게 실천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울산광역시에 소재한 맞춤초등학교 기초학습부진아 교육의 참여자들의 면담을 중심으로 한 사례 연구를 통하여 기초학습부진아 지도를 지원하기 위한 기초학습부진아교육 운영 체제와 참여자들의 직무수행방식에 대하여 분석하여 보았다. 맞춤초등학교에서 기초학습부진아 교육은 교육과학기술부의 지도 지침이 반영된 교육청의 계획에 의거하여 방과후학교부서 아래에 ‘기초학력책임제’라는 이름으로 계획되어 운영되고 있었다. 한 해의 기초학습부진아 교육의 행정적 일정은 교육청 지침과 동일하였다.기초학습부진아교육에 관한 업무는 상부 교육청의 행정 일정에 따라 학습부진아 현황보고와 재평가 실시와 교육청에서 배부된 교재활용안내와 한 달 1회 지도 강사의 급여 지급등이다. 지도 강사들은 학습부진아들의 개인적 특성으로 인한 생활지도에 어려움을 많이 느끼고 있었다. 이러한 결론을 토대로 추후 수행될 연구를 위해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기초학습부진아교육을 위한 운영체제를 실증적 관점에서 참여자들의 면담을 통하여 유형화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대상을 단위학교 참여자들 뿐만 아니라 상부기관인 교육청의 관계자들도 함께 면담을 실시한다면 현장의 학습부진아 해소를 위한 운영 체제를 개선하는 데 충분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리라 본다. 둘째, 학습부진격차 해소를 학교가 담당하여야 하는 교육의 본질적 목적을 찾고자 한다면 담임교사와 학습부진아 학부모와의 면담도 시도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for solution in an educational operating system for slow-learners (called students who lack the basic academic abilities), in order to reduced the number of them in elementary school. In this study, the concept of slow-learning, the reasons why slow-learners exist, and the overview of current educational policy and its problems were examined, ultimately trying to provide the insight and self-examination about how to deal with slow-learners more effectively. Although many educational measures for slow-learners are taken on the national or education office level, they are not fully practiced or fundamentally applied to the very realistic class unit. Changes in approaches to them were analyzed on the basic of educational norms and validity, including the make-up of human resources, technical assistance, the recognition of slow-learners, communication channel, etc. The operating system changed superficially on the outside and conventional assistance without educational care can't address many current problems. As it is the case now, this study finds a way for the realistic and practical assistance for the benefit of slow-learners with no emphasis of administrative management and its ensuing merit system.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기초학습부진아교육 운영 체제
Ⅴ. 참여자들의 직무수행방식
Ⅵ. 논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