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교사 자율성의 현 수준과 바람직한 수준의 차이분석

Analysis of Difference between Present Level of Teacher's Autonomy and Desirable Level

본 연구는 교사가 인식하는 자율성을 분석하는 것으로써 직무영역별로 교사 자율성의 현 수준과 바람직한 수준의 차이를 분석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교사 자율성을 정의하고 교사 직무영역을 학교경영 , 교육과정운영 , 장학 및 연수 , 인사 및 복무 , 학교사무의 5가지 영역으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교사 자율성의 현 수준과 바람직한 수준의 차이분석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 자율성의 현 수준은 ‘보통’정도로 나타났다. 교육과정 운영 영역의 자율성이 가장 높으며 학교경영 영역과 학교사무 영역의 자율성이 낮았다. 둘째, 교사 자율성의 바람직한 수준은 ‘약간 필요하다’ 정도로 5가지 영역 모두에서 현재보다 더 많은 자율성을 바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 자율성의 바람직한 수준과 현재 수준의 차이가 큰 영역은 학교경영, 학교사무, 인사 및 복무, 교육과정 운영, 장학 및 연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사 자율성에 대한 배경 변인(성별, 교직경력, 교원단체)별 인식 결과는 교직경력, 교원단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 자율성의 현 수준이 가장 낮고 바람직한 수준과 현재 수준의 차이가 큰 학교경영 영역에 대하여 교사 자율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교사 자율성에 대한 요구는 교육과정 운영 영역이 가장 높으며 특히, 수업과 학생지도에 대한 자율성 신장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교직경력은 교사 자율성 인식의 중요한 배경변인이며 저경력 교사의 전문성과 자율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A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ain an implication about the teacher's autonomy by finding the teacher's perception through analyzing a difference between a present level of autonomy and a desirable level. The summarized results gained through a proces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the present autonomy that the teachers perceive was 'Normal'. In detail, autonomy in area of operation of education process was the highest and autonomy in area of school management was the lowest. Second, the level of a desirable autonomy that the teachers perceive was 'little bit necessary' and all of 20 questions were higher than the present level. Third, the biggest area in difference of the desirable level and the present level of the teacher's autonomy was an area of school management. Fourth, a meaningful difference was shown in a perception about autonomy depending on gender, teaching profession career and teacher group. In particular, it showed a big difference depending on teacher profession career and teacher group. It is perceived that the teacher's autonomy was the essential and important requisite to motivate the teacher's commitmen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