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다문화 가족의 언어소통 능력과 유아 교육기관의 사회생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anguage Communication Ability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Social Lif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 75

이 연구에서는 다문화 가족의 언어소통 능력에 따른 유아 교육기관의 사회생활을 알아보고 다문화가정의 유아가 어떤 분야의 요소를 유아 교육기관 입학 전에 갖추어야 하는지 탐색한 다음, 긍정적인 사회생활을 위한 체계적인 방안의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 데 목적을 찾고자 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B대학교에서 매주 A요일마다 다문화 강의를 수강하고 있으며, 다문화가정의 유아를 담당하고 있는 유아 교육기관의 교사 1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 첫째, 일상생활에서 모국어만 사용하는 어머니의 유아는 한국어를 사용하지 않고 어머니 모국어로 의사소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상생활에서 모국어와 한국어를 이중 사용하는 어머니의 유아는 한국어로 의사소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가정 유아의 언어소통을 위하여 한국어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가정의 어머니와 유아가 어떤 언어의 재료를 수용했느냐에 따라 교육적인 환경에서 문법적인 언어소통과 개인의 사회적 관계는 다른 형태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모국어를 사용하는 어머니의 유아는 의사소통의 제한으로 유아 교육기관에서 사회생활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는 다문화가정의 유아가 교육기관에 적응하려면 만 3세 전부터 한국어 원음 듣기와 시·지각자료에 노출될 수 있는 사회 환경이 마련되어야 함을 시사해 준다. 특히 정보화 시대에 언어와 사회 발달 장애의 예방 차원에서 안정된 교육의 체계적 정착은 다문화가족의 만 3세 이하 자녀에게 한국어 원음 듣기 언어모델을 국가 차원에서 디지털 양식으로 제시하고 다문화 가족은 실천해야 할 것이다.

In this study, the basic data of a systematic plan for a positive social life by examining the social lif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ccording to the language communication ability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exploring what fields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should have before enter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rying to find a purpose for present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1 teache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who are taking multicultural lectures every week A weekly at University B and taking care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s the result First, it was found that infants of mothers who speak only their mother tongue in their daily life do not speak Korean but communicate in their mother tongue. Second, it was found that infants of mothers who use both their mother tongue and Korean in their daily life communicate in Korean. Third, it was found that Korean language support was necessary for language communication amo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an educational environment, grammatical language communication and individual social relations appeared in different forms depending on what language materials were accepted by mothers and toddlers in multicultural families. Infants of mothers who speak their mother tongue have difficulties in social lif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due to communication limitations. This implies that in order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o adapt to educational institutions, a social environment in which they can listen to the original Korean sound and be exposed to visual and perceptual materials from before the age of 3 must be prepared. In particular, in the information age, in order to prevent language and social development disorders, the systematic settlement of stable education should provide a language model for listening to the original Korean sound to children under the age of 3 in a multicultural family in a digital form and practice for multicultural families.

I.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