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교육을 둘러싼 대내외적 환경 변화에 보다 능동적이고 효과적으로 대처하고, 학교 교육의 성과를 높이는데 필요한 학교관리자의 역량을 도출하기 위하여 미국의 교육지도자 전문성 표준(PSEL 2015)를 기본 요소로 하여 학교관리자에게 필요한 직무역량 개념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학교관리자의 직무 및 직무역량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PSEL 2015의 10가지 전문성 표준을 학교관리자 직무역량의 기본 요소로 설정하였으며, 이를 ISLLC 2008 및 신현석 외(2020)로부터 도출된 77개의 학교장 직무와 매칭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매칭 결과를 반영하여 학교관리자가 갖추어야 할 직무역량을 기본적인 직무수행을 위하여 필요한 ‘기본 역량’과 학교를 둘러싼 외부 환경 변화로 인해 새롭게 요구되는 ‘미래 역량’으로 구분하고, 각 역량별로 이들을 구성하는 하위 역량을 개념화하였다. 이와 함께 본 연구는 학교관리자 양성 과정에 있어 새로운 역량 개념 도입의 필요성을 제안하는 한편, 학교관리자에 대한 역량평가를 시범적으로 도입함으로써 학교관리자의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에 대한 고민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mplemented the conceptualization of job competency of school administrators based on the conceptual components of PSEL(Professional Standards for Educational Leaders) 2015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individual schools. Specifically, based on the previous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utilized 10 professional standards of school administrators of PSEL 2015 to match ISLLC(Interstate Leaders Licensure Consortium) 2008 and 77 school principal’s job derived from Shin et al.(2020). Considering the result of the matching, this study identified key competencies of school administrators as basic competency, which is needed to perform basic jobs within a school, and future competency, needed to correspond new challenges surrounding schools more effectively. Then, this study suggested sub-competencies comprise basic and future competencies. Furthermore, his study tried to provide the necessity of adopting the concept of competency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the school administrator preparation system, and useful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current systems regarding these issues.
I. 서 론
II. 이론적 배경
III. 미국의 교육지도자 전문성 표준(PSEL 2015) 개요
IV. 학교관리자의 직무역량 개념 도출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 부 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