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학교교육에서의 지역사회참여 효과성 분석

The effective analysis of community participation in school education

  • 7

‘혁신교육지구’ 정책의 도입에서 주요 요소라 할 수 있는 지역사회참여에 주목하고, 지역사회참여가 학교 성과에 기여하는 바를 확인해보고자 ‘대구교육종단연구’의 3차년도(2019)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학교의 성과를 ‘학생행복’과 ‘학교만족도’로 설정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교장은 ‘리더십’, 교사는 ‘교사열의’, 조직적 요소로 ‘학교분위기’를 선정하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확인된 결과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의 성과로 볼 수 있는 두 요인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사열의’였으며, 총 효과를 고려하였을 때, ‘교사열의’, ‘리더십’, ‘학교분위기’, ‘지역사회참여’ 순의 영향력을 가졌다. 둘째, ‘지역사회참여’에는 ‘리더십’과 ‘학교분위기’가 유의한 경로로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으며, ‘교사열의’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사회 참여를 위한 지역사회의 준비가 필요하며, 학교에서의 준비도 충분히 이루어질 필요가 있고, 각 지역사회참여에 대한 인식 및 환경의 개선과 같은 지원이 준비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새로운 것이 정착되기까지 충분한 소통을 통해 실제적 공교육 혁신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해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tent to which community participation contributes to the achievement of school education.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3rd year data from the ‘Daegu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were used and analyzed. The school performance was set as students' happiness and school satisfaction, and the principal's leadership, teacher's enthusiasm, and school climate were selected as variables influencing these, and the model was structured by using these variables.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the equation model. The results confirmed through th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nly teachers' enthusiasm had a direct effect on the school performances, and when considering the total effect, 'teacher enthusiasm', 'leadership', 'school atmosphere', and 'community participation' showed the greatest effect in that order. Second, On ‘community paticipation’, 'leadership' and 'school atmosphere' had significant influence, but 'teacher enthusiasm' was not significa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suggested that the preparation of the local community for involving the school education is necessary, and also sufficient preparation of the schools is necessary, and support such as awareness of community participation and improvement of the human resources and basis of infrastructure for local community and school. It is expected that actual public education innovation will take place through sufficient communication until the ‘Innovational Education District’ is established.

I. 서론

Ⅱ. 학교에서의 지역사회참여와 학교 효과성 검토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