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경기도 혁신고와 일반고 재학생 간 정의적 성취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affective achievement between innovative high school and general high school in Gyeonggi province

  • 9

본 연구는 경기교육종단연구의 8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경기도 혁신고등학교 재학생과 일반 고등학교 재학생 간의 정의적 성취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고교생의 정의적 성취를 나타내는 종속변수로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학교만족도, 진로계획성을 설정하고, 혁신고와 일반고 간 집단 간 차이 분석(t 검정)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두 학교 재학생의 정의적 성취에 대한 t 검정 결과, 자아존중감과 진로계획성의 경우 학교 유형에 따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반면, 학교만족도의 경우 혁신고 재학생이, 자기효능감은 일반고 재학생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혁신학교 여부와 정의적 성취 간의 관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혼동변수를 통제한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혁신고 재학생의 자아존중감, 학교만족도가 일반고 재학생들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자기효능감과 진로계획성의 경우에는 두 학교 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은 분석 결과를 토대로 후속 연구를 통해 보다 엄밀한 혁신학교 효과성 분석이 필요함을 제안하였으며, 학교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자기효능감과 진로계획성 함양을 지원할 수 있는 혁신학교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함을 정책적 시사점으로 제안하였다. 이와 함께 현행 입시제도 및 교육과정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혁신고등학교 운영 모형을 개발하여 학생들의 인지적, 정의적 성장에 기여할 필요가 있음을 함께 제안하였다.

Using the data for 8th of the GEPS, this study analyzed and compared affective achievement between innovative and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To compare high school students’ self-esteem, self-efficacy, school satisfaction and career planning between 2 types of high schools, this study utilized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firstly, innovative high school students’ school satisfaction was higher than that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On the other hand, in terms of self-efficiency, general high school showed more positive result than innovative high school. Second, in the analysis with multiple regression model, innovative high school students’ school satisfaction and self-respect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at more rigorous research design is needed through follow-up studies and we need to develop more effective innovative school programs to improve students’ self-efficacy and career competency.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