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초등 예비교사의 핵심역량 잠재프로파일 분석: D교육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The Effectiveness on the Core Competency Scale for Primary Pre-service Teachers by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Focusing on D University of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D교육대학교 건학이념과 인재상에 기반하여 도출된 6개의 핵심역량이 재학생에게 어떠한 프로파일로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 예비교사 544명을 대상으로 핵심역량 진단검사 도구를 시행한 후, 성별 및 학년에 따른 평균분석과 잠재 프로파일 분석을 실행하였다. 잠재프로파일 분석 결과 6개의 잠재프로파일 집단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집단의 특성을 살펴보면, 집단1(5%)은 모든 핵심역량이 낮으며, 특히 교직인성 역량은 극도로 낮은 집단이었다. 다음으로 집단2(12%)는 국제화교육, 미래교육촉진자, 현장성, 공감적 의사소통, 창의융합역량이 평균보다 낮으나, 교직인성 역량은 평균에 근접한 값을 나타내는 특성을 나타내며, 집단3(15%)은 국제화교육, 미래교육촉진자, 현장성, 공감적 의사소통, 창의융합역량이 평균보다 약간 낮은 수준으로 나타냈으나, 교직인성 역량이 평균 이하로 낮은 특성을 나타내었다. 집단 4(30%)는 국제화교육, 미래교육촉진자, 현장성, 공감적 의사소통, 창의융합역량이 평균보다 약간 낮은 수준으로 나타냈으나, 교직인성 역량이 평균보다 약간 높은 수준의 특성을 나타내며, 집단 5(23%)는 모든 핵심역량이 평균보다 약간 높은 수준을 나타내는 특성을 나타내며, 집단 6(16%)은 전체 핵심역량이 평균보다 높은 수준을 나타내는 특성을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학생 성장을 위한 역량교육을 위해서 학생들에게 필요한 비교과 프로그램 기획·운영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프로파일 분석을 통해 개별화된 맞춤형 역량 교육의 효과를 도모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develop the core competency scale for primary pre-service teachers based on the concept of talent and key competencies constructed by D university of Education, and also to describe its psychometric evaluation. After implementing the core competency scale developed for 544 primary pre-service teachers, average analysis and potential profile analysis were performed according to gender and grade.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by gender and grade in all competencies except for the teacher’s characteristics competency. Second, the latent profile analysis was applied based on the developed the core competency scale, and as a result, six latent groups were derived. In detail, latent group 1(5%) showed all core competencies were low, and in particular, teacher’s characteristics competency was found to be extremely low. In group 2(12%), teacher’s characteristics competency showed a value close to the average. Group 3(15%) is a group with a lower-than-average teacher’s characteristics competency. Group 4(30%) showed a slightly higher level of teacher’s characteristics competency than average, and group 5(23%) had all core competencies slightly higher than the average. Group 6(16%) showed the overall core competency was higher than the average. Finally, the effectiveness of customized competency training was discussed.

Ⅰ. 서론

Ⅱ. D교육대학교의 핵심역량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