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교원 전문성 개발을 위한 교원연수 경험적 일화 탐색

Exploring the Empirical Episodes of Teacher Training for the Development of Teacher Professionality

본 연구는 전문성 개발 측면에서 교원연수에 대한 교원들의 경험적 인식을 물어 교원연수정책을 발전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FGI를 활용하여 전문성 개발 측면의 교원연수에 대한 교원들의 경험적 인식과 현행 교원연수정책에 대한 교원들의 경험적 인식, 향후 교원연수정책에 대한 경험적 요구사항을 탐색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교원들은 연수의 필요성에 공감하였고, 연수로 전문성 신장되거나 인적 네트워크를 형성하였다. 연수종류에 따른 전문성 개발 차이는 없다고 하였다. 교원연수정책 측면에서는 전문성에 대한 사전 논의 부족, 생애주기를 고려한 연수 체감의 어려움, 질 관리 부족, 현장과의 괴리, 운영 지원 부족을 지적하였다. 교원연수정책의 발전을 위해서는 전문성 함양에 대한 논의 필요, 생애주기를 고려한 실질적 연수 제공, 연수의 질 관리, 요구를 반영한 콘텐츠 개발, 맞춤형 연수, 미래형 연수체제 구축 및 연수 지원 노력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토대로 향후 교원연수정책이 고려해야 할 사항들에 대한 결론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raw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al management of teacher training policies by asking teachers' empirical perceptions about teacher training in terms of professional development. To attain the aims, by using FGI, the empirical perception of teachers on teacher training in the aspect of professional development, the empirical perception of teachers on the current teacher training policy, and the empirical requirements for future teacher training policy were explored.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eachers agreed on the need for training. Through training, professionalism was increased and human networks were formed. There was no difference in professional development depends on the type of training. In terms of teacher training policy, the lack of prior discussion on professionalism, difficulty to know whether teacher training condidering the life cycle is appled, lack of quality control, gap with the field, and lack of operational support were pointed out. For the development of teacher training policy, it is necessary to discuss professional development, provide practical training considering the life cycle, manage the quality of training, develop contents that reflect the needs, customized training, establish a future-oriented training system, and make efforts to support training. Based on these results, conclusions were drawn on the matters to be considered in the future teacher training policy.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교원연수의 경험적 일화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