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JPG
KCI등재 학술저널

수신(修身)에서 수신(守身)으로 -퇴계 수양론에서 지킴[守]의 위상과 그 현대적 의의-

From Self-Cultivation To Self-Preservation - Modern Implication and Status of Preservation in Toegye’s theory of Self-Cultivation -

  • 25

본고는 퇴계의 ‘성학(聖學)’ 및 ‘즐거움[樂]’이라는 주제와 관련하여 ‘지킴[守]’의 문제를 논하며 퇴계의 수양론에 대한 새로운 해석의 가능성을 모색해 보고자 한 글이다. 퇴계 학문의 지향은 성학(聖學)에 있었으되, 그는 그것을 ‘성현을 기약함[聖賢自期]’라는 강한 어조가 아닌 ‘성인을 배움[學聖人]’이라는 표현으로 누그러뜨리며, 동시에 ‘즐거움’이라는 술어적 용법으로 그 포부를 은근히 드러내었다. 퇴계의 삶에서 드러나는 ‘물러남’의 노력은 성학으로서의 ‘학문’과 온전한 자기 자신으로서의 ‘삶’이 일치된 ‘진정한 즐거움[眞樂]’을 추구에 다름 아닌 것이다. 퇴계는 이 과정에서 ‘지킴[守]’이라는 용어를 즐거움[樂]과 병칭하며, 진락(眞樂)의 추구에는 수신(守身)이 필수적 요소인 것으로 상정했다. 수신(守身)은 수신(修身)의 의미를 포괄하며 넘어서는 개념으로서, 퇴계는 부분적으로 이를 수신(修身)의 대체적 용법으로 사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본고에서는 이에 착안하여 수신(守身)의 현대적 의미와 효용성을 아울러 고찰해 보았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possibility of a new interpretation of Toegye's self-cultivation theory by discussing the issue of ‘preservation’, starting with the theme of ‘retirement’ and ‘joy’. Toegye's aim was to study the sage learning. He euphemistically described it as ‘learning a sage’ rather than 'being a sage,' and at the same time revealed its aspirations using narrating ‘joy.‘ Toegye's efforts in ‘retirement’ are tantamount to pursuing ‘real joy’ in which pursuing the sage learning and decent life are consistent. Meanwhile, Toegye incorporated the term ‘preservation’ with joy, and assumed that self-preservation is an essential factor in the pursuit of true joy. Self-preservation is a concept that encompasses and goes beyond the meaning of self-cultivation. Toegye seemed to have partly used it as an alternative word for self-cultivation. Based on this aspect, this article considered and reflected on the modern meaning and benefit of self-preservation.

1. 들어가며

2. 성학(聖學)의 명실(名實)

3. 삶과 학문의 즐거움

4. 지키는 바[所守]와 즐거운 바[所樂]

5. 나가며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