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한국 노인의 빈곤과 정신건강: 죽음 준비의 조절 효과

Poverty and Mental Health among Korean Older Adults: The Moderating Role of Death Preparation

  • 446

한국의 노인 빈곤은 심각한 사회 문제이다. 노인의 빈곤이 우울 증상과 같은 정신건강 문제로 이어지지 않도록 여러 가지 대책을 세우고 있지만, 예방 차원의 개입 방안은 큰 주목을 받지 못했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빈곤이 우울 증상이나 삶의 만족과 같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했으며, 역시 그 과정에서 죽음 준비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고자 했다. 본 연구의 자료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2020년도 노인실태조사에서 얻은 9,885명의 노인 자료였으며, 앞에서 언급한 효과는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검증했다. 분석 결과, 노인의 빈곤은 우울과 삶의 만족도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죽음 준비가 빈곤과 정신건강 관계를 조절하는 효과도 확인되었다. 즉 빈곤 집단 노인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우울 증상이 더 높고 삶의 만족도가 더 낮았으며, 빈곤이 정신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죽음 준비가 그 영향력을 완충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빈곤 노인의 정신건강 문제의 예방이나 완화를 위해 죽음 준비에 대한 지원체계를 구체화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빈곤 노인의 정신건강 불평등을 완화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Poverty of the older adults in Korea has been a serious social problem. Various measures have been taken to prevent poverty in the older adults from leading to mental health issues such as depressive symptoms, but preventive interventions have not received significant attention. This study was to test not only the effect of geriatric poverty on mental health such as depressive symptoms and life satisfaction, but also the moderating effect of death prepar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verty and the mental health. The research data was part of the questionnaire responses of 9,885 older adults extracted from the 2020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and the aforementioned effects were tested by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Results showed that geriatric pover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both depressive symptoms and life satisfaction, and death preparation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overty and mental health. That is, older adults in poverty group would have more depressive symptoms and lower life satisfaction than those in non-poverty group, and death preparation would buffer the negative effect of poverty on mental health.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it might be necessary to establish a support system for death preparation to prevent or alleviate mental health issues among older adults in povert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proposing novel approaches to alleviate inequality in mental health among older adults in poverty.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방법

Ⅳ. 결과

Ⅴ. 논의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