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각활동기반 인지재활 그룹 프로그램이 시설거주 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Sensory Activity-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Group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of Dementia Patients Living in a Facility
-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 재활치료과학
- 제12권 제3호
-
2023.0879 - 88 (10 pages)
- 279

목적 : 본 연구는 감각활동기반 인지재활 그룹 프로그램이 시설거주 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감,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 강원도 H군에 위치한 노인 요양시설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치매노인 8명을 대상으로 감각기반 인지재활 그룹 프로그램 총 20회기(사전/사후평가 포함)를 실시하였다. 대상자들의 인지기능, 우울수준과 삶의 질 수준을 프로그램 전과 후에 측정하였다. 결과 : 인지기능 평가에 사용한 한국어판 간이 정신상태 검사(Mini-Mental State Examination-Dementia Screening)의 평균점수는 증가하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주관적 기억감퇴 설문지(Subjective Memory Complaints Questionnaire)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이 있었다(p < .05). 우울 정도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측정한 한국형 단축형 노인우울 척도(Short Geriatric Depression Scale, SGDS-K)의 사후평가 평균점수는 사전평가보다 향상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마지막으로 삶의 질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측정한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 척도(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assessment instrument-Brief) 결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이 있었다(p < .001). 결론 : 본 연구 결과를 통해서 시설에 거주하는 치매노인을 위한 감각활동기반 인지재활 그룹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과 유용성을 제시하는 데 기초적 근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 This study was to apply a cognitive rehabilitation group program based on sensory activity in patients with dementia living in a facility and to check its effectiveness on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QOL). Methods : Sensory-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group programs (20 sessions) were conducted for eight elderly with dementia over the age of 65 living in a nursing facility located in H-gun, Gangwon-do. The participants’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level, and QOL were evalua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Results : The mea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Dementia Screening increased;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trast, the mean post-test score of the Subjective Memory Complaints Questionnaire decreased,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 < .05). The mean post-evaluation score of Short Geriatric Depression Scale measured to confirm the decrease in depression compared to the pre-evaluation score,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inally, the mean post-evaluation score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QOL assessment instrument-Brief confirmed the change in the QOL,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 < .001). Conclusion : This study will provide the basis for suggesting the usefulness of developing a sensory activity-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group program for dementia patients living in facilities.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