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진로구성이론 적응모형 검증: 직장인을 대상으로

A Test of the Career Construction Theory Model of Adaptation among Employees

본 연구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진로적응모형(CCT Model of Adaptation)을 검증하여 직장인의 진로적응과정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진로적응모형 각 차원에 핵심자기평가(적응준비), 진로적응성(적응자원), 직업적 자기효능감(적응반응), 직무열의(적응결과)를 적용하여 1년 이상 근속한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총 234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진로적응모형의 가정대로 각 변인 간의 순차적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하였으며, 연구결과 핵심자기평가는 진로적응성과 직업적 자기효능감을 통해 직무열의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신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직장인일수록 높은 수준의 적응자원인 진로적응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직업적 변화에 대처할 수 있다는 자신에 대한 믿음을 통해 자신의 업무에 긍정적인 마음 상태를 가지고 능동적으로 임할 수 있게 함을 의미한다. 끝으로 이를 바탕으로 직장인의 진로적응에 대한 시사점과 본 연구의 한계를 논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validate the Career Construction Theory(CCT) Model of Adaptation among employees. To this end, we applied Core Self-Evaluation(adaptivity), Career Adaptability (adaptability), Occupational Self-efficacy(adapting), and Work Engagement(adaptation) to each dimension of the CCT Model of Adaptation and conducted a survey of employees who have been working for more than one year, and analyzed the data of 234 employe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conducted to test the sequential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as assumed by the CCT Model of Adaptation, and the results showed that Core Self-Evalu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Work Engagement through Career Adaptability and Occupational Self-efficacy. This means that employees who evaluate themselves positively have a high level of Career Adaptability, which is an adaptive resource that enables them to be proactive in their work with a positive state of mind through their belief in their ability to cope with occupational changes. Finally, we discuss the implications for career adaptation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로딩중